본문 바로가기

사람 관련 부수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⑨ - 몸(肉, 骨, 歹, 心, 疒, 身, 己, 厶) '몸'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64. 肉[月](고기 육) : 베어 낸 한 점의 고깃덩어리에 칼집을 낸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고기', '몸'이나 '신체의 부분'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 참고로, '肉' 자의 변형인 '月' 자의 '二'는 양쪽에 붙고, '月(달 월)' 자의 '二'는 왼쪽만 붙습니다. [예] 肉 + 昜 = 腸(창자 장) 65. 骨(뼈 골) : '肉(고기 육)' 자와 '冎(뼈 발라낼 과)' 자를 합하여, '살[몸] 속에 있는 뼈'ㆍ'살이 조금 붙어 있는 뼈'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갑골문에서의 '骨' 자는 뼈와 관절이 서로 이어져 있는 모습이지만, 금문에서는 여기에 '肉' ..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⑧ - 발(止, 足, 疋, 走, 夂, 夊, 癶, 舛) '발'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56. 止(그칠 지) : 엄지발가락이 길게 뻗어 있는, 사람의 발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사람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 '발을 멈추고 그 자리에 있다'는 뜻과 '발을 움직여 나아가다'는 뜻으로 썼으나, 나중에는 주로 '그치다'ㆍ'머무르다'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또는, 초목의 싹이 돋아날 때의 뿌리 부분의 모양을 본뜬 글자. '발'ㆍ'뿌리'라는 뜻이었으나, 그 뜻이 바뀌어 '그침'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가다'나 '이동하다'처럼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一 + 止 = 正(바를 정) 57. 足(발 족) : 사람의 허벅다리 또는 무릎뼈에서 ..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⑦ - 두 손(廾·臼), 가지나 도구를 든 손(支·攴·殳), 꼬리를 잡은 손(隶) '두 손', '가지나 도구를 든 손', '꼬리를 잡은 손'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50. 廾(받들 공, 스물 입) : 두 손으로 마주 잡아 받들어 올리는 모습을 본뜬 글자. 그래서 '廾' 자는 두 손으로 물건을 잡거나 무언가를 끌어올린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부수는 오늘날의 해서체를 기준으로 편제되었기 때문에 간혹 원래의 부수 개념을 잃어버리고 잘못 분류된 글자들도 있습니다. 예컨대, '共(함께 공)' 자는 두 손[廾]으로 어떠한 물건[口]을 받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인데, '八(여덟 팔)' 부수에 잘못 편제되어 있습니다. 또 '兵(병사 병)' 자도 두 손[廾]으로 도끼[斤]를 쥐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로, 도끼[斤..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⑥ - 손(又, 手, 屮, 寸, 彐)과 손톱(爪) '손', '손톱'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44. 又(또 우) : 사람의 오른손 모양을 본뜬 글자. 금문에서야 등장한 '右(오른쪽/오른손 우)' 자의 초기 글자입니다. → 갑골문에서는 '又' 자가 '손'을 통칭하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그러나 후에 '又' 자가 '또'나 '다시'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금문에서는 손과 관련된 다양한 글자가 파생되기 시작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여전히 '손'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又 + 耳 = 取(가질 취) 45. 手[扌](손 수) : 다섯 손가락을 활짝 편, 사람의 손 모양을 본뜬 글자. → 본래 '손'을 뜻하는 글자로는 '又' 자가 있었지만, 후에 뜻이 '또'나 '다시..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⑤ - 이(齒, 牙)와 털(毛, 彡, 髟, 而) '이'와 '털'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38. 齒(이 치) : 크게 벌린 사람의 입과 잇몸 아래위로 이가 나란히 박힌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음(音)을 나타내는 '止(지→치)' 자와 이를 물고 있거나 잘 움직여 씹거나 함을 나타내는 나머지 글자를 합하여 만든 글자. → 이는 생장(生長)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齒' 자는 '나이'의 뜻도 나타내고, 이가 가지런히 나열된 모습이 '순서'를 연상케 하므로 '齒' 자는 '순서'를 뜻하기도 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이'와 '이로 물거나 깨무는 것'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㓞 + 齒 = 齧(물 설), 齒 + 令 = 齡(나이 령) 39. 牙(어금니 아) : 입을 ..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④ - 입(口, 曰, 言, 音, 甘, 欠)과 혀(舌) '입'과 '혀'와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31. 口(입 구) : 사람의 입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입'이나 '소리'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各(각각 각)' 자와 같이 '장소[출입구]'나 '品(물건/등급 품)' 자와 같이 '물품[그릇]'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刀 + 口 = 召(부를 소) 32. 曰(가로 왈) : 사람의 입[口]과 날숨[一]의 모양을 본뜬 글자. 목소리를 내어 '말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또는 입[口]에서 입 기운[一]이 나오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을 열고 '말함'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또는 '口(입 구)' 자 위에 획[一]을 하나 그은 글자. ..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③ - 머리(首·頁), 얼굴(面), 코(自·鼻), 귀(耳), 눈(目·見·臣) '머리', '얼굴, '코', '귀', '눈'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2. 首(머리 수) : 얼굴ㆍ머리ㆍ목 등 사람의 머리를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옛 자형은 머리털과 눈을 강조하였습니다. 또는 머리털이 나 있는 동물의 머리를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사람의 머리를 뜻하는 글자로 분류되어 있지만, 사실은 동물의 머리를 그린 것입니다. 갑골문에 나온 '首' 자를 보면 입이 길쭉한 동물의 머리가 그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큰 눈과 뿔을 표현하고 있어서 마치 사슴의 머리를 그린 것과도 같습니다. → 머리는 몸의 맨 위에 있어, '首' 자는 '우두머리'나 '처음'의 뜻으로도 쓰입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② - 가족(父, 毋, 子, 女, 長, 老) '가족'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6. 父(아버지 부) : 오른손[又]에 매[丨]를 쥐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가장인 아버지가 손에 매를 쥐고서, 자녀를 다스리고 가르침을 뜻합니다. 또는, 오른손[又]에 돌도끼[丨]를 쥐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가장인 아버지가 돌도끼를 손에 쥐고서, 적과 싸우거나 고된 노동에 종사함을 뜻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아버지'와 '노인'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父 + 耶 = 爺(아비 야) 17. 毋(말 무) : '母(어머니 모)' 자의 가슴 부위에 획을 그어, '금지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 여기서 '금지하다'라는 것은 간음(奸淫)을 금지한다는 뜻입니다 [예] 士 +..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