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六' 자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한자를 익힌 후 '마무리 퀴즈'를 풀면서 오늘 배운 한자를 복습하고, '기출 문제'를 통해 시험 감각을 익혀 보도록 하세요.
※ 훈음(訓音) 옆에 쌍점(雙點) ':'을 찍은 것은 장음(長音) 한자이며, 괄호 안에 쌍점 '(:)'을 찍은 것은 단어에 따라 장단(長短)이 갈리는 한자입니다. 쌍점이 없는 것은 단음(短音) 한자입니다.
※ 장단음(長短音) 한자 문제, 즉 단어의 첫소리 발음이 길고 짧음을 구분하고 있는가를 묻는 문제는 4급 이상에서만 출제되지만, 8급 한자를 배울 때부터 익히시길 바랍니다.
※ 한자 급수 카드와 한자 쓰기 연습장에 나오는 한자의 대표 훈음, 필순, 쌍점은 한자능력검정회가 제시한 것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6. 六(여섯 륙) [부수: 八, 총 4획]
: 지붕 아래로 두 기둥이 세워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본래 '六' 자는 '작고 허름한 집'을 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숫자 '육'으로 가차(假借: 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되었습니다.
→ '八(여덟 팔)' 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숫자 '여덟'과는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六' 자의 형태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변하였습니다.
그리고 '六' 자를 쓰는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참고로, '六' 자에 관한 주관식 문제의 답안 작성 시 유의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는 한자능력검정회에서 제시한 것입니다.
1. 훈음을 묻는 문제
: 본음인 '여섯 륙'으로 답하여야 합니다.
2. 독음을 묻는 문제
: 어문 규범에 맞게 답하여야 합니다. 기준이 되는 규범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한글 맞춤법」 제3장 제11항 -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http://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a232)
②「한글 맞춤법」 제6장 제52항 -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 '六' 자가 포함된 다음 단어들의 독음 표기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① 六十(육십) - 두음법칙 적용
→ 륙십/유십/뉴십 X
② 五六十(오륙십) - 본음대로 적음
→ 오육십/오유십/오뉴십 X
③ 十六(십육) - '십'과 '육'이 결합한 합성어로, 합성어는 뒤의 단어에도 두음법칙 적용
→ 십륙/십유/십뉴 X
④ 三百六十五(삼백육십오) - '삼백'과 '육십'과 '오'가 결합한 합성어로, 합성어는 뒤의 단어에도 두음법칙 적용
→ 삼백륙십오/삼백유십오/삼백뉴십오 X
⑤ 六月(유월) - 속음 규정 적용
→ 륙월/육월/뉴월 X
⑥ 五六月(오뉴월) - 속음 규정 적용
→ 오륙월/오육월/오유월 X
끝으로, 한자 급수 카드와 쓰기 연습장도 그림 파일로 함께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 마무리 퀴즈 ☆
1. 다음 漢字(한자)의 훈(訓: 뜻)과 음(音: 소리)을 쓰세요.
六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여섯 륙
[풀이]
1. '六' 자의 대표 훈은 '여섯'이고, 음은 '륙'입니다. 훈음 쓰기가 주관식 문제로 나올 때에는 두음법칙이나 속음(俗音: 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반 사회에서 쓰는 음)과는 무관하게 한자의 본음을 써야 합니다. 따라서 '六' 자의 훈음은 '여섯 륙'으로 답하여야 합니다.
★ 기출 문제 ★
1. 다음 글의 ( ) 안에 있는 漢字(한자)의 讀音(독음: 읽는 소리)을 쓰세요. [제83회 기출]
(六)
<보기>
(音) → 음
2. 다음 밑줄 친 말에 해당하는 漢字(한자)를 <보기>에서 찾아 그 번호를 쓰세요. [제86회 기출]
동생은 여섯 살입니다.
<보기>
① 門 ② 小 ③ 六 ④ 大 ⑤ 土
⑥ 外 ⑦ 人 ⑧ 木 ⑨ 月 ⑩ 水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육 2. ③
[풀이]
1. '六' 자의 독음은 '육'입니다.
2. '여섯'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는 '六' 자입니다.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능력급수 8급 - 배정 한자 (8) 八 (0) | 2020.04.11 |
---|---|
한자능력급수 8급 - 배정 한자 (7) 七 (0) | 2020.04.11 |
한자능력급수 8급 - 예상 문제(一, 二, 三, 四, 五) (0) | 2020.04.10 |
한자능력급수 8급 - 배정 한자 (5) 五 (0) |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