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귀하디 귀한 vs 귀하디귀한 먼저 아래 두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귀하디 귀한', 두 번째 자료에는 '귀하디귀한'으로 적혀 있습니다. 어느 것이 바르게 쓴 걸까요? '-디'는 용언(동사ㆍ형용사)의 어간을 반복하여 그 뜻을 강조하는 연결 어미입니다. "맑디맑은 호수."의 '맑디맑은', "잘나디잘난 얼굴."의 '잘나디잘난'처럼 주로 '-디-은' 구성으로 쓰이죠. 그럼, 연결 어미 '-디'를 사용하여 '귀하다'의 뜻을 강조해 볼까요. '귀하다'의 어간 '귀하-'에 어미 '-디'가 붙어 '-디-은' 구성이 되면 두 번째 자료와 같이 '귀하디귀한'이 됩니다. 첫 번째 자료의 '귀하디 귀한'처럼 띄어 쓰지 않습니다. 끝으로, 연결 어미 '-디'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표현으로서 사전에 등재된 단어를 몇 가지 정리해 볼게요. 아,.. 더보기
도착 순 vs 도착순, 도착한 순 vs 도착한순 다음 A와 B, C와 D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신청서는 도착 순으로 접수되었다. B. 신청서는 도착순으로 접수되었다. C. 초대석의 경우 빨리 도착한 순으로 자리를 배정합니다. D. 초대석의 경우 빨리 도착한순으로 자리를 배정합니다. A와 B에 쓰인 '-순(順)'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접미사는 항상 앞말에 붙여서 쓰는 것이 올바른 쓰임입니다. 그러므로 A와 B 중에서는 B의 '도착순으로'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C와 D에 쓰인 '순(順)'은 주로 '~순으로'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행하거나 여러 대상을 나열할 때 매겨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입니다.「한글 맞춤법」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라고 규정하며, 에서는 다음과.. 더보기
측: 주최 측 vs 주최측, 양 측 vs 양측 오늘은 '측'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주최 측', 두 번째 자료에는 '주최측'으로 적혀 있습니다. 바르게 쓴 것은 무엇일까요? 위 두 자료에 쓰인 '측(側)'은 '어떤 무리의 한쪽을 상대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의존 명사입니다. 「한글 맞춤법」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라고 규정합니다. 왜냐하면,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주최 측'과 같이 '측'을 앞말 '주최'와 띄어 적어야 바릅니다. 그렇다면,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양 측은 협상을 재개하기.. 더보기
마다: 사람 마다 vs 사람마다 오늘은 '마다'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사람 마다 성격이 다르다. B.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다. '마다'는 '낱낱이 모두'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한글 맞춤법」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써요. 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보통 조사는 단어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말에 의존해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다. 조사를 그 앞말에 붙여 쓴다는 말은 조사가 자립성이 있는 말 뒤에 붙을 때뿐만 아니라 조사가 둘 이상 연속되거나 어미 뒤에 붙을 때에도 그 앞말에 붙여 씀을 뜻한다. 조사의 연속 학교에서처럼 / 나에게만이라도 여기서부터입니다 / 아이까지도 어미 뒤 조사 말하면서까지도 / 사.. 더보기
그래: 신통하군 그래 vs 신통하군그래 오늘은 '그래'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그것참, 신통하군 그래. B. 그것참, 신통하군그래. '그래'는 '-구먼, -군'과 같은 해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해할 자리'란 '해체(해體)'가 쓰일 자리라는 뜻입니다. '해체'란 격식체인 '해라체'와 '하게체'를 쓸 자리에 두루 쓰는 비격식체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면, "철수야, 이리 와서 먹어." 따위가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써요. 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보통 조사는 단어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말에 의존해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 더보기
줄: 쓸 줄 vs 쓸줄 오늘은 의존 명사 '줄'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준비한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쓸 줄', 두 번째 자료에는 '쓸줄'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르게 쓴 걸까요? 위 두 자료의 '줄'은 '어떤 방법, 셈속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서 의존 명사입니다. 「한글 맞춤법」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라고 규정합니다. 왜냐하면,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그걸 한자 성어로 뭐라고 하는 줄 아세요?", "그가 나를 속일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처럼 말이죠. 따라서 위 두 자료에서도 첫 번째 자료와 같이 '쓸.. 더보기
근: 근 일주일 vs 근일주일 오늘은 관형사 '근(近)'의 띄어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근 일주일 동안 비가 왔어. B. 근일주일 동안 비가 왔어. A와 B의 '근(近)'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에 거의 가까움을 나타내는 말로서 관형사입니다.「한글 맞춤법」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규정에 따라, 관형사와 그 뒤에 오는 말은 띄어서 씁니다. 따라서 A처럼 '근 일주일'로 써야 바릅니다. 참고로, 관형사는 명사ㆍ대명사ㆍ수사와 같은 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입니다. 관형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상 관형사(性狀冠形詞) : 사람이나 사물의 모양, 상태, 성질을 나타내는 관형사. '새', '.. 더보기
짜리: 2조 3천억 원 짜리 vs 2조 3천억 원짜리 vs 2조3천억원짜리 아래 준비한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2조 3천억 원 짜리', 두 번째 자료에는 '2조3천억원짜리'로 적혀 있습니다.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우선,「한글 맞춤법」제44항에 따르면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씁니다. 또,「한글 맞춤법」제43항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라고 규정합니다. 그래서 첫 번째 자료의 '2조 3천억 원'처럼 써야 바릅니다. 수나 양 또는 값을 나타내는 명사구 뒤에 붙어 '그만한 수나 양을 가진 것' 또는 '그만한 가치를 가진 것'의 뜻을 더하는 '-짜리'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씁니다. 두 번째 자료처럼 말이죠. 결국, 두 자료 중에는 띄어쓰기가 바른 것이 없습니다. 수는 만 단위로 띄어 쓰고 단위 명사 '원'은 앞말과 띄..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