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한참 vs 한창 다음 A와 B, C와 D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개나리가 한참 피어나는 봄.B. 개나리가 한창 피어나는 봄.C. 길을 잘못 들어서 한참 헤맸다.D. 길을 잘못 들어서 한창 헤맸다.  '한참'과 '한창'은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릅니다.'한참'은 명사로 쓰일 땐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뜻합니다. 그래서 "한참 뒤에 전화가 왔다.", "담장을 따라 한참을 걸어가니 기와집이 나왔다."와 같이 씁니다. 이때의 '한참'은 '꽤 오랫동안'을 뜻하는 '한동안'이나 '시간상으로 썩 긴 동안'을 뜻하는 '오랫동안'과 쓰임이 비슷해요.'한참'의 유래는 중도일보 (2012년 1월 13일 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한동안의 뜻을 지닌.. 더보기
어떤 결심 마음이 많이 아플 때꼭 하루씩만 살기로 했다몸이 많이 아플 때꼭 한순간씩만 살기로 했다고마운 것만 기억하고사랑한 일만 떠올리며어떤 경우에도남의 탓을 안 하기로 했다고요히 나 자신만들여다보기로 했다내게 주어진 하루만이전 생애라고 생각하니저만치서 행복이웃으며 걸어왔다이해인 수녀님의 더보기
국에 만 밥 vs 국에 말은 밥 아래 두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만 밥', 두 번째 자료에는 '말은 밥'으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르게 적은 걸까요?「한글 맞춤법」제18항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 'ㄹ'이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등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대로 적습니다. '밥이나 국수 따위를 물이나 국물에 넣어서 풀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말다'가 이에 해당합니다.어간 끝 받침이 'ㄹ'인 동사에는 관형사형 어미가 '-은'이 아닌 '-ㄴ'이 붙는데, '말다'의 어간 '말-'이 어미 '-ㄴ'과 결합할 때 어간 끝 받침 'ㄹ'은 'ㄴ' 앞에서 탈락합니다. 그러므로 '말다'의 활용형으로 '말은'이 아닌 '만'을 쓰는 것이 바릅니다. 첫 번째 자료의 '녹차에.. 더보기
정년이 저 눈부신 별천지 속에서 여러분 모두 빛나시길 더보기
장본인 vs 주인공 오늘은 '장본인'과 '주인공'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다음 A와 B, C와 D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그는 이 끔찍한 재앙을 일으킨 장본인이다.B. 그는 이 끔찍한 재앙을 일으킨 주인공이다.C. 그는 이번 시합에서 우리 팀을 승리로 이끈 장본인이었다.D. 그는 이번 시합에서 우리 팀을 승리로 이끈 주인공이었다.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을 뜻하는 말은 '장본인'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장본인'이 꾀한 일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 명확하게 풀이하고 있지는 않지만, '장본인'은 주로 부정적인 사건의 주요 인물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그가 바로 이 범죄를 지시한 장본인이지.", "국정 농단의 장본인인 그 사람은 징역 20년의 중형을 받았다."처럼 말이죠.'.. 더보기
[남산] N서울타워 전망대 이용요금 할인받기(네이버 예약 & QR코드 스캔) N서울타워를 부모님 모시고 가려고 미리 알아보니 전망대 이용요금을 할인받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2024년 5월 22일 기준입니다.)  우선, N서울타워 홈페이지에 소개된 이용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는 어른 6장이 필요한데 부모님이 만 65 이상이므로 대인 4장과 소인 2장을 구매해야 합니다. 홈페이지에 안내된 대로 계산하면, 총이용요금은 116,000원입니다. 참고로, 소인은 만 12세까지인데 일반적으로 초등학생까지 적용된다고 합니다.첫 번째 할인받는 방법은 네이버입니다. 네이버에서 'N서울타워'를 검색하면 나오는 다음 창을 클릭합니다.   n서울타워 : 네이버 검색'n서울타워'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search.naver.com  새로 열린 창에서 '예매'를 클릭합니다. 그럼, 여러.. 더보기
나는 vs 날으는 아래 두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나는', 두 번째 자료에는 '날으는'으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르게 적은 걸까요?「한글 맞춤법」제18항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 'ㄹ'이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등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대로 적습니다. '공중에 떠서 어떤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날다'가 이에 해당합니다.'날다'에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인 '-는'이 연결되면, 어간 '날-'의 끝 받침 'ㄹ'은 'ㄴ' 앞에서 탈락하여 '나는'이 됩니다. '-으는'이라는 어미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날으는'.. 더보기
무대뽀, 무대포, 무데뽀, 무데포 다음 자료부터 봐 주세요. 자료에 적힌 '무대포'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그 외에도 '무대뽀', '무데뽀', '무데포'라는 말도 간혹 접하게 됩니다. 주로, 일의 앞뒤를 잘 헤아려 깊이 생각하는 신중함이 없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사용하죠. '시비나 결과를 따지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는 것. 또는 그런 모양이나 그런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無鐵砲/無手法(むてっぽう)'에서 온 말이 '무데뽀'입니다. 위 자료에 적힌 '무대포'나 '무대뽀', '무데포'는 이 '무데뽀'를 잘못 표기한 것이고요. 국립국어원에서는 일본어의 잔재인 '무데뽀'를 '달리 어찌할 수 없음'을 뜻하는 '막무가내(莫無可奈)'나 '앞뒤를 잘 헤아려 깊이 생각하는 신중성이나 꾀가 없음'을 뜻하는 '무모(無謀)'로 순화한 바 있습니다. ..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