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⑫ - 제사(示, 鬼, 血, 豆)와 점(卜, 爻)
'제사'와 '점'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00. 示[礻](보일 시) :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단(祭壇)의 모양을 본뜬 글자. 제물(祭物)을 신에게 보여 준다는 데서, 또는 신에게 제를 지내면 길흉(吉凶)이 나타난다는 데서 '보이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신'이나 '귀신', '제사', '길흉'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示 + 兄 = 祝(빌 축) 201. 鬼(귀신 귀) : 커다란 탈을 쓴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이것은 탈을 쓴 사람이 제사를 지내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또는, 정상적인 사람의 모습과 달리, 머리 부분을 크게 표현한 모..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⑩ - 무기(弓, 矢, 至, 弋, 矛, 戈, 干, 亅)
'무기'와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87. 弓(활 궁) : 활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의 '弓' 자를 보면, 활시위가 얹힌 것도 있고 풀린 것도 보입니다. 그리고 활 위로 장식까지 그려져 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활'이나 '활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에 관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弓 + 丨 = 引(끌 인) 188. 矢(화살 시) : 화살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의 '矢' 자를 보면, 화살의 촉과 대와 깃이 구체적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 '矢' 자는 때로는 화살의 곧음처럼 '정확함'을 뜻하기도 하고, 때로는 길이를 재는 척도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화살'이나 '화살의 속성'과 ..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⑧ - 길(行, 彳, 廴, 辵)과 이동 수단(車, 舟)
'길'과 '이동 수단'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76. 行(다닐 행, 항렬 항) : 사거리(한 지점에서 길이 네 방향으로 갈라져 나간 곳)의 모양을 본뜬 글자. '길'의 의미에서 길은 여러 사람이 모이고 오가는 곳이기에 '가다'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또 길을 함께 가는 것은 뜻을 같이하거나 또래들의 일이기에, '行'에 '항렬(行列: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나 '줄'의 뜻이 나왔고, 이때는 '항'으로 구분해 읽습니다. 또는, 왼발의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彳(조금 걸을 척)' 자와 오른발의 걷는 모양을 나타내는 '亍(자축거릴 촉)' 자를 합하여, '좌우의 발을 차례로 옮겨 걷다..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⑥ - 집(宀, 穴, 广, 高, 門, 戶, 瓦, 冂)
'집'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64. 宀(집 면) : 움집 위를 덮어 씌운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지붕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 나온 '宀' 자를 보면 지붕과 기둥이 함께 그려져 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집'이나 '건축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宀 + 豕 = 家(집 가) 165. 穴(구멍 혈) : 동굴 집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 나온 '穴' 자를 보면, 윗부분은 지붕처럼 생긴 덮개 또는 동굴 입구 모양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고, 아래 두 점은 동굴 벽에 드러나 있는 돌 또는 동굴 입구와 주위에 늘어져 있는 나뭇가지 또는 동굴 입구 양쪽의 받침목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