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살펴볼 단어는 '걸죽하다'와 '걸쭉하다'입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걸죽 하도록', 두 번째 자료에는 '걸쭉하도록'으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표기가 바를까요?
「한글맞춤법」 제5항 2.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ㄴㆍㄹㆍㅁㆍ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습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건들ㆍ딸기ㆍ함지ㆍ뭉실'과 같이 받침 'ㄴㆍㄹㆍㅁㆍㅇ'은 뒤에 오는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바꾸어 주는 필연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그래서 'ㄴㆍㄹㆍㅁㆍㅇ' 뒤에 오는 된소리는 특별한 까닭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번쩍ㆍ딸꾹ㆍ듬뿍ㆍ뭉뚱그리다'와 같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액체가 묽지 않고 꽤 걸다 / 말 따위가 매우 푸지고 외설스럽다 / 음식 따위가 매우 푸지다 / 노래 따위가 매우 구성지고 분위기에 어울리는 데가 있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걸죽하다'가 아니라 '걸쭉하다'로 표기해야 바릅니다.
참고로, 「한글맞춤법」 제5항의 <해설>에서는 이 조항에서 말하는 '한 단어'는 '한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를 의미한다고 설명합니다. 그래서 복합어인 '눈곱[눈꼽], 발바닥[발빠닥], 잠자리[잠짜리]'와 같은 표기는 이 조항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한글 맞춤법」제5항
: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 잔뜩 / 살짝 / 훨씬
담뿍 / 움찔 / 몽땅 / 엉뚱하다
단어 정리
걸쭉-하다 [걸쭈카다]
1. 액체가 묽지 않고 꽤 걸다.
⇒ 걸쭉한 콩국.
2. 말 따위가 매우 푸지고 외설스럽다.
⇒ 주모는 걸쭉한 말솜씨로 손님들의 흥을 돋우었다.
3. 음식 따위가 매우 푸지다.
⇒ 걸쭉한 잔치판.
4. 노래 따위가 매우 구성지고 분위기에 어울리는 데가 있다.
⇒ 한 사내가 일어서더니 각설이 타령을 걸쭉하게 부르기 시작했다.
→ 활용: 걸쭉하여(걸쭉해), 걸쭉하니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어휘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 걸죽한 / 걸쭉한 ) 막걸리.
2. 달걀흰자에 밀가루를 넣고 저었더니 ( 걸죽하게 / 걸쭉하게 ) 엉겼다.
정답 및 풀이
[정답]
1. 걸쭉한 2. 걸쭉하게
[풀이]
1~2. 한 단어 안에서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습니다. 따라서, '액체가 묽지 않고 꽤 걸다 / 말 따위가 매우 푸지고 외설스럽다 / 음식 따위가 매우 푸지다 / 노래 따위가 매우 구성지고 분위기에 어울리는 데가 있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걸죽하다'로 적지 않고 '걸쭉하다'로 표기합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어휘 다듬기 > 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넌마을 vs 건넛마을 (0) | 2020.05.28 |
---|---|
걸핏하면 vs 얼핏하면 (0) | 2020.05.27 |
걸맞는 vs 걸맞은 (0) | 2020.05.07 |
깨우치다 vs 깨치다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