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이드의 메모장/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기 - 티스토리 <메타 태그> 플러그인 활용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음에서는 자동으로 등록이 되어 검색됩니다. 반면, 네이버에서는 티스토리 글들이 바로 노출되지 않고, 노출되어도 시간이 오래 걸리죠. 어떤 글은 아예 노출이 안 되기도 하고요.
그런데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가 네이버의 검색결과에 누락되지 않고, 네이버의 검색엔진에 최적화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라는 곳에서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거죠.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는 2019년 10월에 개편이 되어 '서치어드바이저'라는 큰 틀 안의 도구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편 후, 웹마스터도구는 서치어드바이저 메인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 '웹마스터도구'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지난 글을 참고하여 자신의 티스토리 사이트맵 파일을 생성해 주세요.

2019/12/22 - [초보 블로거의 메모장] - 티스토리 사이트맵 파일 만들기

 

1.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우측 상단의 '웹마스터도구'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네이버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합니다. 이용 동의 창이 뜨면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naver.com

 

 

2. '연동 사이트 목록' 창의 '사이트 추가' 난에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사이트 소유 확인' 창에서 'HTML 태그' 선택 → 생성된 메타 태그를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 놓아 둡니다.

 

 

4.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의 '플러그인'으로 들어가 '<Meta Tag/>' 클릭 → '메타 태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직 '적용' 버튼은 누르지 마세요. 복사한 메타 태그를 'Html 편집'에서 '<head>'와 '</head>' 사이에 넣는 방법도 있지만, <메타 태그>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스킨을 편집하든 교체하든 상관없이 계속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5. 우선 ①번 녹색 박스 부분은 'name'으로 선택합니다. ②번 붉은색 박스 난에는 메모장에 붙여 놓은 메타 태그 중에서 붉은색 박스 내용을, ③번 파란색 박스 난에는 메타 태그의 파란색 박스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 →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로 돌아와, 보안 글자와 숫자를 입력 → '확인' 버튼을 클릭 → 사이트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창이 뜨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연동 사이트 목록'에서 티스토리가 제대로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클릭 → 새로 열리는 창에서 왼쪽 메뉴 중 '요청'의 'RSS 제출' 클릭 → 'RSS 제출' 난에 '티스토리 주소/rss'를 입력→ '확인' 버튼을 클릭 → 본인의 RSS가 등록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8. 왼쪽 메뉴 중 '요청'의 '사이트맵 제출' 클릭 → '사이트맵 제출' 난에, 미리 만들어 저장해 둔 사이트맵 파일의 링크 주소 중 'attachment/~.xml' 부분을 입력 → '확인' 버튼을 클릭 → 본인의 사이트맵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 모두 잘 등록되었을 경우, 웹마스터도구 왼쪽 메뉴 중 '리포트'의 '사이트 최적화'를 클릭하면, '검색 로봇 수집'에서 'RSS' 항목과 '사이트맵' 항목에 녹색 체크가 표시된 것이 보인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티스토리를 개설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사이트 최적화'에서 "네이버 검색로봇이 사이트에 접근할 수 없어, 진단을 할 수 없습니다."라고 나오네요. 처음 소유 확인한 사이트의 경우에는 검색로봇이 사이트를 진단하는 데 일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므로, 며칠 뒤에 다시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ps> 2020년 1월 29일의 '검색 로봇 수집' 현황입니다. 모든 항목에 녹색 체크가 표시된 것이 보이시죠.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