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이드의 메모장/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기 - 티스토리 <메타 태그> 플러그인 활용

 

네이버에 이어 구글에서도 티스토리 블로그가 검색되도록, 오늘은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지난 글을 참고하여 자신의 티스토리 사이트맵 파일을 생성해 주세요.

2019/12/22 - [초보 블로거의 메모장] - 티스토리 사이트맵 파일 만들기

2019/12/27 - [초보 블로거의 메모장]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하기 - 티스토리 <메타 태그> 플러그인 활용

 

1. 크롬에서 구글 서치콘솔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구글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 → 'Google 검색 실적 개선하기' 창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www.google.com/webmasters/tools/home?hl=ko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 도구와 보고서를 사용하면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결과에서 사이트가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search.google.com

 

2. 'Google Search Console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창의 우측에 있는 'URL 접두어'의 'URL 입력' 난에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 →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소유권 확인' 창이 뜨면, 하단의 '다른 확인 방법'의 'HTML 태그' 선택 → 생성된 메타 태그를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 둡니다. 아직 '확인' 버튼을 클릭하지 마세요.

 

 

4.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의 '플러그인'으로 들어가 '<Meta Tag/>' 클릭 → '메타 태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직 '적용' 버튼은 누르지 마세요. 복사한 메타 태그를 'Html 편집'에서 '<head>'와 '</head>' 사이에 넣는 방법도 있지만, <메타 태그>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스킨을 편집하든 교체하든 상관없이 계속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5. 우선 ①번 녹색 박스 부분은 'name'으로 선택합니다. ②번 붉은색 박스 난에는 메모장에 붙여 놓은 메타 태그 중에서 붉은색 박스 내용을, ③번 파란색 박스 난에는 메타 태그의 파란색 박스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 → '변경사항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다시 구글 서치콘솔로 돌아와서 '소유권 확인' 창의 '확인' 버튼을 클릭 → '소유권이 확인됨'이라는 창이 뜨면,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이제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기 위하여, 구글 서치콘솔 메인 페이지의 왼쪽 상단에 위치한 '≡' 버튼을 클릭 → '속성 검색' 클릭 →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클릭합니다.

 

 

8. 새로 열리는 창에서 왼쪽 메뉴 중 'Sitemaps' 클릭 → '새 사이트맵 추가' 난에, 미리 만들어 저장해 둔 사이트맵 파일의 링크 주소 중 'attachment/~.xml' 부분을 입력 → '제출' 버튼을 클릭 → '사이트맵이 제출됨'이라는 창이 뜨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새로 열리는 창의 '제출된 사이트맵' 항목에서 사이트맵이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처음에는 '제출된 사이트맵'의 '상태'가 '준비'로 되어 있는데, 새로 고침을 해 주면 '성공'으로 변하게 됩니다.

 

 

 

 

 

9. 동일한 창의 '새 사이트맵 추가' 난에서 '티스토리 주소/' 뒤에 'rss'를 입력 → '제출' 버튼을 클릭 → '사이트맵이 제출됨'이라는 창이 뜨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 열리는 창의 '제출된 사이트맵' 항목에서 성공적으로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