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다듬기/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갇히다 vs 갖히다

 

오늘 살펴볼 단어는 '갇히다'와 '갖히다'입니다. 

 

출처 - 김선우 저, 창비,『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표지

 

출처 -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7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백서』41쪽

 

첫 번째 자료에는 '갇혀'로, 두 번째 자료에는 '갖혀'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둘 중에 어떤 것이 바를까요?

'사람이나 동물을 벽으로 둘러싸거나 울타리가 있는 일정한 장소에 넣고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가두다'의 피동사는 '가두다'의 어간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히-'가 결합한 '갇히다'입니다.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입 속에 갇혀'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갇히다'의 어원에 관하여 국립국어원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표준 국어 대사전의 어원 정보에 따르면, '가두다'는 '갇-+-오-+-다'의 '가도다'에서 온 말이며, '갇히다'는 '갇-+-히-+-다'의 '가티다'에서 온 말임을 참고해 보실 수는 있겠습니다. 즉 원래는 '갇-'이라는 어간이 있었고 이에 대한 피동사를 만들기 위해 피동 접미사인 '-히-'를 써서 '갇히다'가 파생되는데, '갇-'이라는 어간 뒤에 '-오-'라는 선어말 어미가 결합한 것이 역사적으로 굳어져 '가두다:갇히다'의 대립을 보이게 된 것으로 풀이할 수 있겠습니다.

 

동사 '갇히다'가 '가두다'의 피동사로 쓰일 때는 '사람이나 동물이 벽으로 둘러싸이거나 울타리가 있는 일정한 장소에 넣어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다'를 뜻합니다. "그는 감옥에 갇히다."처럼 말이죠.
이렇게 '갇히다'를 '가두다'의 피동사로 쓸 때는 "그를 감옥에 가두다."와 같은 능동문을 만들 수 있어요.

'갇히다'는 '어떤 공간이나 상황에 있게 되다'의 뜻도 나타냅니다. "겨울은 내내 눈 위에 찍힌 멧돼지며 곰 발자국들을 구경하며 폭설에 갇혀 살았다.≪문순태, 피아골≫"와 같이 쓰이죠.
이때의 '갇히다'는 '가두다'의 피동사로 쓰인 것이 아니며, 이에 대한 능동문을 상정하기 어렵습니다.

 

단어 정리
갇히다 [가치다]

→ 활용: 갇히어(갇혀), 갇히니

「동사」

【…에】
1. 사람이나 동물이 벽으로 둘러싸이거나 울타리가 있는 일정한 장소에 넣어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다. '가두다'의 피동사.
⇒ 승강기에 갇히다.

2. 어떤 공간이나 상황에 있게 되다.
⇒ 고지는 삽시간에 적의 치열한 포화 속에 갇혀 버렸다. ≪홍성원, 육이오≫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뒤주에 ( 갇힌 / 갖힌 ) 사도 세자.

2. 미켈란젤로는 바위 안에 ( 갇혀 / 갖혀 ) 있는 천사를 보았던 거야.

3. 궁전 안에 ( 갇혔던 / 갖혔던 ) 왕실 문화는 길거리 시장에까지 흘러넘쳤습니다.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갇힌    2. 갇혀    3. 갇혔던

 

[풀이]

1~3. '사람이나 동물이 벽으로 둘러싸이거나 울타리가 있는 일정한 장소에 넣어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다'나 '어떤 공간이나 상황에 있게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은 '갇히다'입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