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과 '혀'와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31. 口(입 구)
: 사람의 입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입'이나 '소리'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各(각각 각)' 자와 같이 '장소[출입구]'나 '品(물건/등급 품)' 자와 같이 '물품[그릇]'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刀 + 口 = 召(부를 소)
32. 曰(가로 왈)
: 사람의 입[口]과 날숨[一]의 모양을 본뜬 글자. 목소리를 내어 '말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또는 입[口]에서 입 기운[一]이 나오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입을 열고 '말함'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또는 '口(입 구)' 자 위에 획[一]을 하나 그은 글자. '말하다'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 '가로다'는 '말하다'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曰'의 훈인 '가로'는 '가로되, 말할' 따위의 뜻입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단순히 '말하다'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會(모을 회)' 자와 같이 '찬합의 밑부분', '最(가장 최)' 자와 같이 '감투', '曲(굽을 곡)' 자와 같이 '굽은 자'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曰 + 聿 = 書(글 서)
33. 言(말씀 언)
: 쥘손이 있는 날붙이를 뜻하는 '辛(매울 신)' 자와 맹세의 문서를 뜻하는 '口(입 구)' 자를 합한 글자. 불신(不信)이 있을 때에는 벌을 받을 것을 전제로 한 '맹세', '삼가 말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는 생황이나 나팔 같은 악기[辛]를 물고 있는 입[口]의 모양을 표현한 글자.
또는 생황이나 나팔 같은 악기[辛]를 입[口]으로 부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
또는 단순히 입[口]에서 말소리가 퍼져 나가는 모습[辛]을 표현한 글자.
→ 갑골문에서의 '言' 자는 '소리'나 '말'이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그래서 금문에서는 '소리'와 '말'을 구분하기 위해 '言' 자에 획[一]을 하나 그어, '소리'를 뜻하는 '音(소리 음)' 자가 만들어졌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말하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言 + 炎 = 談(말씀 담)
34. 音(소리 음)
: '言(말씀 언)' 자의 아랫부분인 입[口] 속에 획[一]을 그어 '소리'를 표현한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소리'나 '음악'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鄕 + 音 = 響(울릴 향)
35. 甘(달 감)
: '口(입 구)' 자에 획[一]을 하나 그어 입안에 음식이 있음을 표현한 글자. 그래서 '맛 좋다', '달다', '만족하다'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는 입안의 혀끝으로 단맛을 가려냄을 표현한 글자.
[예] 甘 + 舌 = 甛(달 첨)
36. 欠(하품 흠)
: 사람이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하품은 몸 안에 산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입니다. 그래서 '하품'을 뜻했던 '欠' 자는 후에 '흠', '모자라다', '부족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단순히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습으로 응용될 때가 많습니다.
[예] 谷 + 欠 = 欲(하고자 할 욕)
37. 舌(혀 설)
: 뱀이나 도마뱀의 길게 뻗은 혓바닥 주위로 침이 튄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입안[口]에서 방패[干] 같은 구실을 하는 혀를 표현한 글자.
또는 음(音)을 나타내는 '干(간→설)' 자와 '口(입 구)' 자를 합하여 만든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혀의 작용'이나 '혀의 움직임'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舌 + 氏 = 舐(핥을 지)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⑥ - 손(又, 手, 屮, 寸, 彐)과 손톱(爪) (0) | 2020.02.29 |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⑤ - 이(齒, 牙)와 털(毛, 彡, 髟, 而) (0) | 2020.02.28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③ - 머리(首·頁), 얼굴(面), 코(自·鼻), 귀(耳), 눈(目·見·臣) (0) | 2020.02.26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② - 가족(父, 毋, 子, 女, 長, 老)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