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6. 父(아버지 부)
: 오른손[又]에 매[丨]를 쥐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가장인 아버지가 손에 매를 쥐고서, 자녀를 다스리고 가르침을 뜻합니다.
또는, 오른손[又]에 돌도끼[丨]를 쥐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가장인 아버지가 돌도끼를 손에 쥐고서, 적과 싸우거나 고된 노동에 종사함을 뜻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아버지'와 '노인'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父 + 耶 = 爺(아비 야)
17. 毋(말 무)
: '母(어머니 모)' 자의 가슴 부위에 획을 그어, '금지하다'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 여기서 '금지하다'라는 것은 간음(奸淫)을 금지한다는 뜻입니다
[예] 士 + 毋 = 毐(음란할 애)
18. 子(아들 자)
: 양팔을 벌리고 있는 어린아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아이'나 '사람'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子 + 系 = 孫(손자 손)
19. 女(여자/딸 녀)
: 여자가 두 손을 앞으로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여자'와 관계된 의미를 전달하게 되는데, 부정적인 의미일 경우가 많습니다.
[예] 女 + 方 = 妨(방해할 방)
20. 長[镸](길/어른 장)
: 머리털이 긴 노인이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예] '長' 자는 부수로 지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용한자에서는 관련된 글자가 없습니다.
21. 老[耂](늙을/늙은이/어른 로)
: 머리카락이 길고 허리가 굽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서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毛(털 모)+人(사람 인)+匕(비수 비)'의 합자(合字).
[예] 老 + 日 = 耆(늙은이 기), 老 + 白 = 者(놈 자)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④ - 입(口, 曰, 言, 音, 甘, 欠)과 혀(舌) (0) | 2020.02.27 |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③ - 머리(首·頁), 얼굴(面), 코(自·鼻), 귀(耳), 눈(目·見·臣) (0) | 2020.02.26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① - 사람 모습(人, 儿, 入, 尢, 大, 立, 卩, 匕, 文, 勹, 色, 艮, 比, 鬥, 尸) (0) | 2020.02.24 |
부수의 위치별 명칭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