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86. 木(나무 목)
: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하늘을 향해 가지를 뻗으며 자라나는 나무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나무'나 '나무의 종류', '나무의 상태'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木 + 木 = 林(수풀 림)
87. 片(조각 편)
: '木(나무 목)' 자의 오른쪽 절반 모양을 나타내어 '(작은) 조각'이란 뜻을 가리킨 글자.
또는, 나무의 우측으로 갈라진 나뭇가지에 나무 판을 덧댄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가공된 나무'나 '작게 조각이 난 물건'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片 + 反 = 版(널 판)
88. 爿(나뭇조각 장/상)
: '木(나무 목)' 자의 왼쪽 절반 모양을 나타내어 '나뭇조각'이란 뜻을 가리킨 글자.
또는, 나무의 좌측으로 갈라진 나뭇가지에 나무 판을 덧댄 모양을 본뜬 글자.
→ 모양으로만 보면 '片(조각 편)' 자를 반대로 그린 것과도 같습니다.
→ '爿' 자는 '나뭇조각'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크다'나 '평상(平牀/平床)'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편입니다. 즉, 똑같이 나무의 한쪽 면을 그린 것이지만 오른쪽을 그린 '片' 자는 '(작은) 조각'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왼쪽을 그린 '爿' 자는 '(큰) 조각'이나 '평상'이라는 뜻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예] 爿 + 木 = 牀(평상 상)
89. 竹(대 죽)
: 두 개의 대나무 줄기와 이파리가 늘어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대나무'나 '대나무를 이용해 만든 물건', '죽간(竹簡)', '대나무의 성질'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竹 + 聿 = 筆(붓 필)
90. 艸[艹](풀 초)
: 초목의 새싹이 돋아 나오는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많은 풀이 가지런히 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식물'이나 '식물의 성장 과정'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艸 + 枼 = 葉(잎 엽)
91. 生(날 생)
: 초목의 싹이 터서 땅 위에 나온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나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彦 + 生 = 産(낳을 산)
92. 氏(성 씨)
: 끝이 예리한 숟가락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땅속에 내린 뿌리와 땅 위에 내민 줄기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뻗어 나가던 뿌리가 지상으로 올라와서 퍼진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허리를 굽힌 사람이 씨앗을 줍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
또는, 사람이 허리를 숙인 채 씨를 뿌리는 모습을 본뜬 글자. 씨를 뿌리는 모습에서 '씨'와 '뿌리'의 개념이 나왔는데, '씨족(氏族)'이나 '성씨(姓氏)'는 이런 뜻을 반영하였습니다.
[예] 氏 + 一 = 氐(근본 저)
93. 韭(부추 구)
: 땅 위에 무리 지어 나 있는 부추의 모양을 본뜬 글자.
[예] 艸 + 韭 = 韮(부추 구)
94. 瓜(오이 과)
: 오이 덩굴 사이로 열매가 달린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오이'나 '박'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票 + 瓜 = 瓢(박 표)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⑤ - 가축(犬, 豕, 羊, 牛, 馬)과 가죽(皮, 革, 韋) (0) | 2020.03.09 |
---|---|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④ - 물(水·川·冫)과 불(火), 어패류(魚·貝·辰)와 벌레(虫) (0) | 2020.03.07 |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② - 산(山, 阜, 厂, 谷)과 광물(石, 土, 金, 玉) (0) | 2020.03.05 |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① - 하늘(日, 月, 夕, 气, 風, 雨) (0) | 202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