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64. 宀(집 면)
: 움집 위를 덮어 씌운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지붕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 나온 '宀' 자를 보면 지붕과 기둥이 함께 그려져 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집'이나 '건축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宀 + 豕 = 家(집 가)
165. 穴(구멍 혈)
: 동굴 집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 나온 '穴' 자를 보면, 윗부분은 지붕처럼 생긴 덮개 또는 동굴 입구 모양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고, 아래 두 점은 동굴 벽에 드러나 있는 돌 또는 동굴 입구와 주위에 늘어져 있는 나뭇가지 또는 동굴 입구 양쪽의 받침목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굴'이나 '구멍'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穴 + 九 = 究(연구할 구)
166. 广(집 엄)
: 담벼락이 있는 큰 집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언덕이나 바위를 지붕 삼아 지은 바위 집 또는 돌집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큰 집'이나 '건축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广 + 聽 = 廳(관청 청)
167. 高(높을 고)
: 높게 지은 건축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성(城)의 망루(望樓)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종을 쳐서 시간을 알리던 종각(鐘閣)의 모양을 본뜬 글자.
→ '高' 자는 높은 건축물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높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지만, 높은 것에 비유해 '크다'나 '뛰어나다'ㆍ'고상하다'와 같은 뜻도 파생되어 있습니다.
→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亭(정자 정)', '豪(호걸 호)', '毫(터럭 호)', '亮(밝을 량)', '喬(높을 교)' 자들처럼 '高' 자의 생략된 모습으로 결합하기도 합니다.
→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주로 '높다란 집'이나 '높다', '크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高 + 頁 = 䯪(큰 머리 고), 山 + 高 = 嵩(높은 산 숭)
168. 門(문 문)
: 닫아 놓은 두 문짝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문'이나 '문과 관련된 행위나 동작'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門 + 开 = 開(열 개)
169. 戶(지게 호)
: 외짝 문의 모양을 본뜬 글자.
→ '戶' 자가 뜻하는 '지게'라는 것은 짐을 얹어 등에 지는 기구인 '지게'가 아닌, '지게문(옛날식 가옥에서, 마루와 방 사이의 문이나 부엌의 바깥문)'을 이릅니다.
→ '戶' 자가 집 안에 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면, '門(문 문)' 자는 집으로 들어가는 대문을 가리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출입구'나 '집' 또는 집에 거주하는 '사람'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戶 + 方 = 房(방 방)
170. 瓦(기와 와)
: 기와가 서로 맞물려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기와는 흙을 빚어 고온에서 구워 내야 하므로, 토기를 제조하는 방식과 매우 비슷합니다. 그래서인지 '瓦' 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토기'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雍 + 瓦 = 甕(독 옹)
171. 冂(멀 경)
: 멀리 이어져 뻗은 길과 지평선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큰 대문과 입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 이것은 국경 지대에 있는 큰 대문과 입구를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冂' 자는 먼 국경에 있는 관문이라는 의미에서 '멀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 '冂' 자가 부수로 쓰인 글자들은 뜻과는 관계없이 대부분 모양자 역할만 합니다.
[예] 冊(책 책), 再(두 재)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⑧ - 길(行, 彳, 廴, 辵)과 이동 수단(車, 舟) (0) | 2020.03.20 |
---|---|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⑦ - 안석(几)과 붓(聿)과 악기(龠, 鼓) (0) | 2020.03.19 |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⑤ - 도구(工, 刀, 力, 耒, 方, 斤, 士, 丨, 辛, 网) (0) | 2020.03.16 |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④ - 곡식(白, 禾, 黍, 香, 米, 麥, 齊)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