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④ - 곡식(白, 禾, 黍, 香, 米, 麥, 齊)

 

'곡식'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47. 白(흰 백) 
: 껍질을 벗긴 쌀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촛불의 심지와 밝게 빛나는 불빛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엄지손가락 모양을 본뜬 글자. 엄지손가락은 손가락 중에서 '첫 번째' 손가락이므로, '白' 자의 원래 의미는 '첫째'나 '맏이'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손톱에는 속손톱(손톱의 뿌리 쪽에 있는 반달 모양의 하얀 부분)이 있는데, 특히 엄지손톱에는 속손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래서 '白' 자는 '희다'ㆍ'밝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으며, 밝게 되면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게 되므로 '사실대로 밝히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희다'나 '밝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白 + 告 = 皓(흴 호) 

흰 백.png
0.03MB

 

148. 禾(벼 화) 
: 곡물(穀物)의 이삭이 여물어 고개를 숙인 모양을 본뜬 글자.

→ 인류가 최초로 재배했던 곡식이 '조'였기 때문에 '禾' 자는 조가 익은 모습을 본뜬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곡식'이나 '벼'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 과거에는 벼를 세금으로 냈기 때문에 돈이나 세금과 관련된 글자를 만드는 데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곡식의 종류나 가치', '수확', '조세'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禾 + 殼 = 穀(곡식 곡), 禾 + 兌 = 稅(세금 세) 

벼 화.png
0.03MB

 

149. 黍(기장 서) 
: '禾(벼 화)' 자와 '水(물 수)' 자를 합하여, '기장'이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水' 자가 더해진 것은 기장으로 술을 담그기 때문이라고 보거나, '기장'이 곡식 가운데 가장 물기와 찰기가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기장'이나 '기장의 성질'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黍 + 𥝢 = 黎(검을 려) 

기장 서.png
0.03MB

 

 

150. 香(향기 향) 
: '黍(기장 서)' 자와 '甘(달 감)' 자를 합하여, '향기'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禾(벼 화)' 자와 '曰(가로 왈)' 자를 합하여, '향기'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 '香' 자의 원래 뜻은 새로 수확한 곡식으로 갓 지어 낸 밥의 '향기'입니다. 그 후 향기로운 모든 것을 지칭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향'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香 + 复 = 馥(향기 복) 

향기 향.png
0.03MB

 

151. 米(쌀 미) 
: 긴 막대기 주위로 곡식의 낱알이 흩어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여기서 긴 막대기는 낱알을 펼쳐 놓는 도구를 나타낸 것입니다.
또는, 이삭에 달린 곡식의 낟알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쌀'이나 '곡식' 또는 '곡식을 가공한 제품'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米 + 立 = 粒(낟알 립) 

쌀 미.png
0.03MB

 

152. 麥(보리 맥) 
: 보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 '來(올 래)' 자가 '오다'라는 뜻으로 쓰이자 긴 뿌리를 뜻하는 '夂(뒤져 올 치)' 자를 합하여, '보리'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 '보리'를 뜻하던 '來' 자가 '오다'라는 뜻을 가지게 된 것은 가차라는 설도 있지만, 보리가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들어온' 것이기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여하튼 보리[麥]는 건조한 곳에서도 뿌리를 깊이 내려 잘 자라기 때문에 길게 뻗어 내린 '뿌리[夂]'를 상징화해 '麥'으로 표현했습니다.
→ '麥' 자는 이후 의미가 확장되어 '밀'도 뜻하게 되었는데, 밀과 보리는 유사하여 구분이 힘들기 때문입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보리'나 '밀'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麥 + 匊 = 麴(누룩 국) 

보리 맥.png
0.03MB

 

153. 齊(가지런할 제) 
: 곡물(穀物)의 이삭이 가지런히 돋은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가지런함'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齊 + 示 = 齋(재계할 재) 

가지런할 제.png
0.03MB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