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⑤ - 도구(工, 刀, 力, 耒, 方, 斤, 士, 丨, 辛, 网)

 

'도구'와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54. 工(장인 공) 
: 달구(땅을 단단히 다지는 데 쓰는 기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工' 자는 '달구'를 그린 것이지만, 의미가 확장되어 도구를 잘 다루는 사람, 즉 '장인'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장인은 세심하고 숙련된 기술을 갖고 일을 하므로, '工' 자는 나아가 '세심하다'ㆍ'숙련되다'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작업'이나 '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工 + 丂 = 巧(공교할 교) 

장인 공.png
0.03MB

 

155. 刀[刂](칼 도) 
: 굽은 칼날 위로 뾰족한 날이 하나 더 있는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칼'이나 '자르다'ㆍ'베다', '사물이 갈라지다', '공격하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八 + 刀 = 分(나눌 분) 

칼 도.png
0.03MB

 

156. 力(힘 력) 
: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동물이 '가래(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기구)'나 '쟁기(논밭을 가는 농기구)' 같은 밭갈이용 농기구를 끌기 전에는 사람이 직접 끌었기에, 본래 밭갈이용 농기구를 뜻하던 '力' 자에 '힘'이나 '힘쓰다'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그렇게 '力' 자가 '힘'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후에 '耒(가래 뢰)' 자가 '가래'나 '쟁기'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힘'이나 '힘쓰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免 + 力 = 勉(힘쓸 면) 

힘 력.png
0.03MB

 

157. 耒(가래 뢰) 
: 끝이 갈라진 농기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본래 갑골문에서는 '力(힘 력)' 자가 '가래'나 '쟁기' 같은 밭갈이용 농기구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그러나 후에 '力' 자가 '힘'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금문에서는 획을 달리한 '耒' 자가 '가래'나 '쟁기'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농기구'나 '경작(耕作)'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耒 + 井 = 耕(밭 갈 경) 

가래 뢰.png
0.03MB

 

158. 方(모 방) 
: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쟁기 모양을 본뜬 글자.

→ 쟁기로 밭을 갈면 보습(쟁기, 극젱이, 가래 따위 농기구의 술바닥에 끼우는, 넓적한 삽 모양의 쇳조각)에 의해 각진 흙덩이가 올라오게 되는데, 이로부터 여러 뜻이 생겨났습니다. 흙은 땅의 상징이며, 농경을 주로 했던 중국에서 땅은 '나라' 그 자체였습니다. 게다가 땅이 네모졌다고 생각했기에 '네모'나 땅의 '가장자리'까지 뜻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밭을 갈 때는 소가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방향'이라는 뜻도 갖게 되었죠. 그래서 '方' 자에는 '나라'는 물론 '땅', '방향', '각짐', '정직함', 네모꼴로 된 종이에 처방을 내린다고 해서 '방법' 등의 뜻까지 생겼습니다. 그리고 쟁기질로 일으킨 흙을 줄지어 나란히 뒤엎은 모습에서 '나란하다'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 주의해야 할 점은 '方' 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우측 변에 위치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좌측 변에 '方' 자가 있다면, 이것은 바람에 펄럭이는 깃발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 '㫃(나부낄 언)' 자의 생략형입니다. 이는 '旅(나그네 려)', '族(겨레 족)' 등 '方' 자가 부수로 지정된 대부분 글자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方' 자와 '㫃' 자는 전혀 다른 상형에서 출발한 것이라 구별이 되어야 함에도 서로 비슷한 자형이라는 이유로 함께 편제된 것은 잘못입니다.
 
[예] '凡' 자의 변형 + 方 = 旁(곁 방), 㫃 + 其 = 旗(기 기) 

모 방.png
0.03MB

 

 

159. 斤(도끼 근) 
: 자귀(나무를 깎아 다듬는 연장의 하나)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이후 '斤' 자가 무게의 단위로 가차되자, 원래 뜻은 '釿(자귀 근)' 자로 표현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날이 있는 연장'이나 '끊다', '베다', '쪼개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辛 + 木 + 斤 = 新(새 신) 

도끼 근.png
0.03MB

 

160. 士(선비 사) 
: 고대 형관(刑官)들이 지니고 다니던, 도끼 형상의 무기 모양을 본뜬 글자. 그래서 '士' 자의 본래 의미는 손에 병기 혹은 형기를 들고 있는 '무사(武士)'나 '형관'을 가리킵니다.

또는, 남성의 생식기 모양을 본뜬 글자. 이로부터 '남성'을, 나아가 '지식인'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선비'나 '관리', '남자'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爿 + 士 = 壯(씩씩할 장) 

선비 사.png
0.03MB

 

161. 丨(뚫을 곤) 
: 위에서 내리그어, '뚫음'ㆍ'통함'이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끝이 뾰족한 송곳의 모양을 본뜬 글자.

[예] 口 + 丨 = 中(가운데 중) 

뚫을 곤.png
0.03MB

 

162. 辛(매울 신) 
: 형벌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

→ '辛' 자는 죄인에게 형벌을 집행하고, 노예에게 노예 표지를 새겨 넣던 도구로 쓰였습니다. 그래서 '辛' 자는 '죄인'이나 '노예'를 상징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고통과 아픔의 상징으로 쓰여, '맵다'ㆍ'괴롭다'ㆍ'고생하다'라는 뜻까지 가지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죄인'이나 '형벌', '매운맛'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辛 + 刀 + 辛 = 辨(분별할 변) 

매울 신.png
0.03MB

 

163. 网[罒, 罓, 㓁](그물 망) 
: 그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잡다'나 '걸리다'ㆍ'잡히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网 + 非 = 罪(허물 죄), 网 + 干 = 罕(드물 한) 

그물 망.png
0.03MB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