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⑪ - 색깔(黑, 赤, 靑, 黃, 玄)

 

'색깔'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95. 黑(검을 흑) 
: 아궁이 모양을 본뜬 글자. 아궁이는 주위가 꺼멓게 거슬리게 되므로, '黑' 자는 '검다'나 '꺼멓게 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는, 아랫부분에는 '炎(불꽃 염)' 자와 윗부분에는 '窓(창 창)' 자의 고자(古字)를 합하여, 불이 타올라 나가는 창을 굴뚝으로 보아 연기가 나오는 굴뚝이 거멓게 그을려 있다는 데서 '검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이마에 문신(文身)한 사람의 모양을 본뜬 글자. '黑' 자는 죄인에게 가해지는 형벌의 하나인 묵형[墨刑: 중국에서 행하던 오형(五刑) 가운데 하나. 죄인의 이마나 팔뚝 따위에 먹줄로 죄명을 써넣던 형벌이다]으로부터 '검다'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이로부터 다시 '어둡다'ㆍ'혼탁하다'ㆍ'사악하다'ㆍ'불법' 등의 의미가 파생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검다'나 '검은색'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黑 + 占 = 點(점 점) 

검을 흑.png
0.07MB

 

196. 赤(붉을 적) 
: 사람을 불에 태우는 모습을 본뜬 글자. 사람을 태울 정도라면 시뻘건 불꽃이 훨훨 타올랐을 것이므로, 이로부터 '붉다'라는 뜻이 나왔습니다.

또는, '大(클 대)' 자와 '火(불 화)' 자를 합하여, 크게 불타는 데서 '붉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大(클 대)' 자와 '火(불 화)' 자를 합하여, 사람이 불을 쬐고 있는 데서 '붉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붉다'나 '붉은색'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赤 + 赤 = 赫(빛날 혁) 

붉을 적.png
0.08MB

 

 

197. 靑(푸를 청) 
: 땅 위로 돋아난 싹을 뜻하는 '生(날 생)' 자와 우물의 맑은 물을 뜻하는 '井(우물 정)' 자를 합하여, 싹과 우물의 물처럼 '푸르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 첫 번째 금문에 해당함.

또는, 땅 위로 돋아난 싹을 뜻하는 '生(날 생)' 자와 광정(鑛井: 광산의 구덩이)에서 캐낸 붉은색 광물질 주사(硃砂)를 뜻하는 '丹(붉을 단)' 자를 합하여, 붉은 돌 틈에서 피어나는 싹은 더욱 푸르러 보이므로 '푸르다'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 두 번째 금문에 해당함.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푸르다'나 '푸른색'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靑 + 爭 = 靜(고요할 정) 

푸를 청.png
0.07MB

 

198. 黃(누를 황) 
: 허리에 누렇고 둥근 패옥(佩玉)을 두른 사람의 모양을 본뜬 글자.

→ '黃' 자는 황금색의 '패옥'이라는 뜻에서 '누렇다'나 '노래지다'라는 뜻으로 확대되었고, 또 황금색은 황제의 색이기도 하여 '황제'라는 뜻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黃' 자에 '玉(옥 옥)' 자를 더한 '璜(패옥 황)' 자가 '패옥'이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주로 '누렇다'나 '황제'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黃 + 今 = 黅(누른빛 금), 广 + 黃 = 廣(넓을 광) 

누를 황.png
0.07MB

 

199. 玄(검을 현) 
: 활과 시위의 모양을 본뜬 글자. '玄' 자의 본래 의미는 '줄'이나 '시위'였습니다. 전통적인 활시위는 옻나무의 진액이나 송진을 발라 현의 수명을 길게 했는데, 이때 가공된 활시위의 색깔이 검은빛을 띠었기 때문에 '玄' 자는 후에 '검다'나 '검붉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玄' 자에 '弓(활 궁)' 자를 더한 '弦(활시위 현)' 자가 '활시위'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또는, 작은 실타래 모양을 본뜬 글자인 '幺(작을 요)' 자가 변형된 글자. 즉, '幺' 자는 가는 실을 묶어 만든 실타래의 모양을 본뜬 글자인 '糸(가는 실 멱, 실 사)' 자의 아랫부분을 줄인 형태이고, '糸' 자는 '絲(실 사)' 자의 반쪽입니다. 다시 말해, '絲' 자를 절반으로 줄인 것이 '糸' 자요, '糸' 자를 절반으로 줄인 것이 '幺' 자이므로, 이로부터 '幺' 자에 '작다'는 뜻이 나온 것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검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玄 + 玄 = 玆(이/검을 자, 검을 현) 

검을 현.png
0.08MB

 

 

※ 색과 관련한 부수들의 자원(字源)이 분분하여, 자원별로 분류하지 않고 ‘색깔’이라는 범주로 분류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