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⑫ - 제사(示, 鬼, 血, 豆)와 점(卜, 爻)

 

'제사'와 '점'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00. 示[礻](보일 시) 
: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단(祭壇)의 모양을 본뜬 글자. 제물(祭物)을 신에게 보여 준다는 데서, 또는 신에게 제를 지내면 길흉(吉凶)이 나타난다는 데서 '보이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신'이나 '귀신', '제사', '길흉'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示 + 兄 = 祝(빌 축) 

보일 시.png
0.03MB

 

201. 鬼(귀신 귀) 
: 커다란 탈을 쓴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 것을 옆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 이것은 탈을 쓴 사람이 제사를 지내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또는, 정상적인 사람의 모습과 달리, 머리 부분을 크게 표현한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귀신'이나 '영혼', '초자연적인 것'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云 + 鬼 = 魂(넋 혼) 

귀신 귀.png
0.03MB

 

 

202. 血(피 혈) 
: 핏방울이 그릇에 떨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그릇 안에 담긴 피의 모양을 본뜬 글자.

→ 고대에는 소나 양 등의 피를 그릇에 받아 신에게 바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갑골문 '血' 자는 제사 때 바칠, 제기(祭器)에 담긴 희생(犧牲)의 피를 그린 것입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제사 때 쓸 희생의) 피'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血 + 丑 = 衄(코피 뉵) 

피 혈.png
0.03MB

 

203. 豆(콩/제기 두) 
: 굽이 높은 제기(祭器)의 모양을 본뜬 글자.

→ 제기에 주로 콩을 담았었기 때문인지, 후에 '豆' 자는 '콩'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습니다. 그러자 원래의 굽 달린 제기를 뜻하기 위한 '梪(나무 그릇 두)' 자가 만들어졌습니다.

→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주로 '콩'이나 '제기', '제사'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曲 + 豆 = 豐(풍성할 풍), 癶 + 豆 = 登(오를 등) 

콩/제기 두.png
0.03MB

 

204. 卜(점 복) 
: 구운 거북의 등 껍데기에 나타난 갈라진 금의 모양을 본뜬 글자. 고대에는 거북을 불에 구워, 그 등 껍데기에 나타난 금으로 점을 쳤기 때문에 '卜' 자는 '점' 또는 '점치다'를 뜻하게 되었습니다.

또는, 거북딱지(거북의 등과 배를 싸고 있는 딱지)에 홈을 파고 불로 지져 갈라진 모양을 본뜬 글자. 고대에는 달궈진 쇠꼬챙이를 거북의 딱지에 지져 갈라진 모양과 소리에 따라 길흉을 점쳤습니다. '卜' 자는 이때 갈라진 획과 구멍을 함께 그린 것입니다.

→ '卜' 자의 음은 등 껍데기가 갈라질 때 나는 소리를 본뜬 것이라고 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점'이나 '점치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卜 + 口 = 占(점칠 점) 

점 복.png
0.03MB

 

205. 爻(효/엇걸릴 효) 
: 실이나 새끼를 교차되게 짜거나 매듭짓는 모습을 본뜬 글자.
또는, 산가지[점술에서, 괘(卦)를 나타내기 위하여 쓰는 도구]가 서로 교차된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육효[六爻: 역(易)에서, 점괘(占卦)의 여섯 가지 획수]의 머리가 엇걸린 모양을 나타내어, '엇걸림'이라는 뜻을 가리킨 글자.

→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希(바랄 희)' 자, '敎(가르칠 교)' 자와 같이 약간 변형되기도 합니다. 

[예] 大 + 爻 = 爽(시원할 상) 

효/엇걸릴 효.png
0.03MB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