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다듬기/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年度: 출생년도 vs 출생 연도, 2020년도 vs 2020연도

 

오늘은 '年(해 년)' 자와 '度(법도 도)' 자로 이루어진 한자어 '年度'의 한글 표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출처 - 이이화 저, 김영사,『한국사의 아웃사이더』272쪽

 

출처 - KBS, <뉴스 9> 2020년 6월 1일 자

 

첫 번째와 두 번째 자료에는 '출생년도', 세 번째 자료에는 '출생 연도'로 적혀 있습니다. 둘 중에 어떤 표기가 바른지 알아보기 전에, 우선 두음법칙의 내용을 규정하는「한글 맞춤법」제10항을 살펴보겠습니다.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제10항에서는 한자 '녀'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로 적는다고 규정해요. 이 규정에 따라,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또는 '앞의 말에 해당하는 그해'를 뜻하는 명사 '年度'는 '연도'로 적습니다. 그리고「한글맞춤법」제2항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므로, 세 번째 자료의 '출생 연도'가 바른 표기입니다.

 

출처 - 공공누리, 전라남도 여수시

 

출처 - 서울파이낸스 2020년 5월 17일 자

 

그리고 네 번째 자료에는 '2020년도', 다섯 번째 자료에는 '2020연도'로 적혀 있습니다. 앞에서 설명한「한글 맞춤법」제10항의 규정에 따르면, '2020연도'가 바른 표기일 것 같은데 과연 그럴까요?

「한글 맞춤법」제10항의 규정에는 예외가 있습니다. 의존 명사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의존 명사는 독립적으로 쓰이기보다는 그 앞의 말과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뜻하는 의존 명사 '年度'는 '년도'로 적습니다. 그리고「한글맞춤법」제43항에서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은 하나의 단어로 인정되는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고 규정하므로, '2020 년도'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그런데 제43항에 따르면, 단위 명사는 그 앞의 수 관형사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이는 붙여 쓰는 것이 가독성이 높아서 실제로 붙여 쓰는 경우가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2020 년도'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네 번째 자료의 '2020년도'와 같이 붙여 씀을 허용합니다.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2020년도'처럼 붙여 쓰는 허용안이 더 널리 쓰이고, 일반적입니다.

즉, '年度'처럼 명사로 쓰이기도 하고 의존 명사로 쓰이기도 하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두음 법칙의 적용에서 차이가 납니다.
참고로, 한자 '年(해 년)' 자도 주로 다른 체언 앞에 쓰여 '한 해'를 뜻하는 명사로 쓰일 때는 '연'으로 적고, 주로 한자어 수 뒤에 쓰여 '해를 세는 단위'인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년'으로 적습니다.

2020/06/13 - [어휘 다듬기/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 년 강수량 vs 연 강수량, 십 년 vs 십 연

 

◎「한글 맞춤법」제10항 
: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여자(女子), ㄴ: 녀자
ㄱ: 유대(紐帶), ㄴ: 뉴대
ㄱ: 세(歲), ㄴ: 년세
ㄱ: 이토(泥土), ㄴ: 니토
ㄱ: 요소(尿素), ㄴ: 뇨소
ㄱ: 익명(匿名), ㄴ: 닉명

다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냥(兩) / 냥쭝(兩-) / 년(年)(몇 년) 

 

단어 정리
년도(年度) [년도]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
⇒ 1985년도 출생자.


연도(年度) [연도]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또는 앞의 말에 해당하는 그해.
⇒ 졸업 연도.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어휘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전문가들은 이 작품의 ( 제작 년도 / 제작년도 / 제작 연도 / 제작연도 )를 1500년으로 추정하였다.

2. ( 2021 년도 / 2021년도 / 2021 연도 / 2021연도 ) 예산안.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제작 연도    2. 2021 년도, 2021년도 

 

[풀이]

1~2. '年度'는 명사로 쓰일 때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연도'로 적습니다. 그러나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년도'로 적습니다. '제작 연도'의 '연도'는 명사, '2021 년도'와 '2021년도'의 '년도'는 의존 명사입니다.

1. '제작'과 '연도'는 각각의 단어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2.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뜻하는 의존 명사 '년도'는 그 앞의 수 관형사와 띄어 적지만,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1 년도'처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2021년도'처럼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원칙과 허용의 차이가 있으나, 모두 바른 띄어쓰기입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