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다듬기/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어리바리 vs 어리버리

 

오늘 살펴볼 단어는 '어리바리'와 '어리버리'입니다.

 

출처 - JTBC, <이태리 오징어순대집> 제6회

 

출처 - JTBC, <냉장고를 부탁해> 명장면클립 2015년 12월 25일 자

 

첫 번째 자료에는 '어리바리', 두 번째 자료에는 '어리버리'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말이 바를까요?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을 이르는 부사는 '어리바리'입니다. 그리고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라는 뜻의 형용사는 '어리바리하다'입니다.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시작부터 어리바리'와 같이 씁니다.

'어리바리' 대신에 '어리버리'라고 쓰는 걸 흔히 보게 되는데, '어리버리'는 '어리바리'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그런데 모음 조화에 따라 '어리버리'가 맞지 않을까 의문을 가질 수도 있어요. 그에 관해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최태호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우선 어리바리의 뜻은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을 말한다. 이 단어는 '어리숙하다'의 어근과 사람을 나타내는 접사 '바리'가 합쳐진 것이다. 즉 '어리숙하다'는 "겉모습이나 언행이 치밀하지 못하여 순진하고 어리석은 데가 있다."는 의미와 "제도나 규율에 의한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느슨하다."라는 의미가 모두 들어 있다. '어리'라는 어근에 사람이라는 의미의 '바리'가 붙은 것이니 모음 조화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출처: 국민투데이 칼럼「어리바리와 바보」中]

 

언중이 실생활에서 '어리바리'와 '어리바리하다'를 어떻게 쓰는지 그 실태를 살펴보면, '어리바리'는 '말과 행동이 얼뜬 모양', '어리바리하다'는 '말과 행동이 얼뜨다'와 비슷한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즉, '어리바리'와 '어리바리하다'의 현실적인 쓰임과 사전적 정의는 동떨어져 보입니다.

실생활에서 쓰는 '어리바리', '어리바리하다'와 비슷한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말이나 행동이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인 '어리보기'와 '어리석고 멍청한 사람'을 이르는 '어바리' 그리고 '말이나 행동 따위가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듯하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어리어리하다'가 있습니다. 

 

단어 정리
어리-바리 [어리바리]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
⇒ 낮보다도 더 자주 어리바리 잠에 빠지곤 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어리바리-하다 [어리바리하다]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활용: 어리바리하여(어리바리해), 어리바리하니


어리어리-하다 [어리어리하다]

1. 【…이】 여럿이 다 모두 뒤섞여 뚜렷하게 분간하기 어렵다.
⇒ 정신이 어리어리하다.

2 말이나 행동 따위가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듯하다.
⇒ 저 녀석은 어리어리해 보여서 일을 믿고 시킬 수가 없다.

→ 활용: 어리어리하여(어리어리해), 어리어리하니


어리-보기 [어리보기]

말이나 행동이 다부지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머저리.
⇒ 잘산다고 떵떵거리지마는 서당에서 밑글 하나도 온전하게 외워 바친 적이 없다더라. 을순이가 그런 어리보기한테 시집을 가겠냐?≪송기숙, 녹두 장군≫


어-바리 [어ː바리]

어리석고 멍청한 사람.
⇒ 나는 열다섯 살이 못 되어 저런 주체 못 할 어바리 같은 자식도 보게 되는구나 싶데요.≪김주영, 도둑 견습≫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단어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술에 취한 듯이 ( 어리바리 / 어리버리 ) 겨우 손을 내밀었다.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어리바리

 

[풀이]

1.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을 이르는 부사는 '어리바리'입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