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부수의 위치별 명칭

 

'부수(部首)'는 한자를 의미 중심으로 분류할 때 해당 범주를 대표하는 글자입니다. 그래서 어떤 한자의 부수가 무엇인지 알면 그 한자의 뜻을 짐작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雨(비 우)' 자가 부수인 한자는 '雪(눈 설)''震(벼락 진)'처럼 그 뜻은 주로 기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글을 배우기 전에 자음과 모음을 익히는 것처럼, 한자를 배우기 전에 한자의 부수를 익혀야 한자 공부가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부수는 한자를 이루는 최소 단위이므로, 자전(字典)에서 한자를 찾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衣(옷 의)' 자는 '表(겉 표)'ㆍ'衲(장삼 납)'ㆍ'被(입을 피)' 따위 글자의 부수입니다. 모르는 한자를 자전에서 찾을 때, 부수를 먼저 찾고 부수를 뺀 나머지 한자의 획수를 세면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부수는 총 214개이며, '人(사람 인)'ㆍ'水(물 수)'ㆍ'火(불 화)'처럼 단독의 글자로 사용될 때(제부수)와 글자의 일부분으로 사용될 때의 자형(字形)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자의 서체가 변하면서 정방형의 규격에 맞춰지다 보니 생긴 현상입니다.

부수는 글자의 어느 위치에 놓이느냐에 따라 다음 8종류로 분류합니다.

 

1. 변(邊)
: 글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

[예 1] 人(사람 인) → 亻+ 二 = 仁(어질 인)
[예 2] 心(마음 심) → 忄+ 靑 = 情(뜻 정)

 

2. 방(傍)
: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부수.

[예 1] 刀(칼 도) → 至 + 刂 = 到(이를 도)
[예 2] 邑(고을 읍) → 者 + 阝 = 都(도읍 도)

 

3. 머리
: 글자의 위쪽에 있는 부수.

[예 1] 宀(집 면) → 宀 + 至 = 室(집 실)
[예 2] 艸(풀 초) → 艹 + 化 = 花(꽃 화)

 

4. 발
: 글자의 아래쪽에 있는 부수.

[예 1] 火(불 화) → 列 + 灬 = 烈(매울 렬)
[예 2] 儿(어진 사람 인) → 口 + 儿 = 兄(형 형)

 

5. 엄
: 글자의 위쪽과 왼쪽 아래를 감싸고 있는 부수.

[예 1] 广(집 엄) → 广 + 占 = 店(가게 점)
[예 2] 尸(주검 시) → 尸 + 者 = 屠(죽일 도)

 

6. 받침
: 글자의 왼쪽과 아래쪽을 감싸고 있는 부수.

[예 1] 廴(길게 걸을 인) → 廴 + 聿 = 建(세울 건)
[예 2] 辵(쉬엄쉬엄 갈 착) → 辶 + 亦 = 迹(자취 적)

 

7. 몸
: 글자의 바깥 부분을 에워싸고 있는 부수.

[예 1] 囗(에워쌀 위) → 囗 + 人 = 囚(가둘 수)
[예 2] 門(문 문) → 門 + 日 = 間(사이 간)

 

8. 제부수
: 글자 자체가 부수인 글자.

[예] 人(사람 인), 大(클 대)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