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방/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한자능력급수 8급 - 출제 기준과 합격 기준, 주관식 문제의 답안 작성 시 유의 사항

 

 

1. 출제 기준
: 8급 시험은 50문제입니다. 문제 유형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아요.

① 한자의 소리를 묻는 독음(讀音) 문제 - 24개
② 한자의 뜻과 소리를 동시에 묻는 훈음(訓音) 문제 - 24개
③ 필순(筆順)을 묻는 문제 - 2개

→ 최근 기출 문제를 살펴보면, 한자의 소리를 쓰거나 뜻과 소리를 모두 써야 하는 주관식 문제가 20문제 나옵니다.

 

 

2. 합격 기준
: 점수는 1문항당 1점으로 계산합니다. 8급은 출제 문항의 70% 이상 득점하면, 즉 35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3. 주관식 문제의 답안 작성 시 유의 사항
① 두음법칙과 국어표기법에 맞게 쓰기
한자능력검정시험은 국어를 바르게 쓰자는 것이 의의이며, 목표입니다. 답안 작성 시 두음법칙을 지키지 않거나, 국어표기법에 맞지 않으면, 해당 한자 음이더라도 오답 처리됩니다.

[예] 훈음 쓰기는 한자의 본음을 써야 하므로 두음법칙이나 속음(俗音: 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반 사회에서 쓰는 음)과는 무관하게 '六' 자의 훈음은 '여섯 륙'으로, '女' 자의 훈음은 '여자 녀' 혹은 '계집 녀'로 답하여야 합니다.


② 문제 조건에 맞는 답을 쓰기
문제에서 아무런 요구 조건이 없으면, 훈음은 맞는 것 하나만 적으면 됩니다.
훈음을 두 개 이상 적은 경우에는 다 맞으면 정답, 틀린 답이 있는 경우에는 틀린 답을 기준으로 오답 처리될 수도 있습니다. 문제에 조건이 있으면 그 조건에 따라 답을 해야 합니다.

[예] '學習'의 '學'에 밑줄을 긋고, 그 훈음을 쓰라고 했다면 '學習'에서의 '學'의 훈음을 묻는 것이므로, '배울 학'만이 정답이고 '학교 학' 등의 다른 훈음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③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약자를 쓰지 않기
한자능력검정시험은 국어교육 정상화 차원에서 실시하는 시험입니다. 국어의 범주 속에 들어와 있지 않은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약자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④ 해서의 정자체를 쓰기
해서(楷書: 한자 서체의 하나)의 정자체(正字體: 바르고 또박또박 쓴 글자체)를 쓰시기를 바랍니다. 본 시험이 서체 시험은 아니고 일정 기간 내에 채점을 끝내야 하므로 판독에 지장이 있는 초서 등의 서체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또, 흔히 '날림체'라 부르는, 본인 외에는 알아보기 어려운 글자는 쓰시면 안 됩니다. 모양은 예쁘지 않더라도 또박또박 쓰시면 됩니다.


⑤ 훈음을 동시에 적을 때
훈음을 동시에 적을 때는 훈과 음 사이를 한 칸 띄우고, 훈이 명사가 아니고 형용사나 동사인 경우에는 원형을 밝히지 않고 '~ㄹ', '~할'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예] 天 하늘 천(O) / 感 느끼다 감(×), 느낀 감(×), 느낄 감(O) / 動 움직이다 동(×), 움직인 동(×), 움직일 동(O).
→ 실제 채점에서는 '느끼다 감'과 같은 형태에 대하여도 오답 처리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가급적 원칙을 지켜 주시기를 바랍니다.


⑥ 대표 훈음만 정답 처리합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대표 훈음 외에 전거(典據: 말이나 문장의 근거가 되는 문헌상의 출처)가 확실한 훈음은 정답 처리합니다. 그러나 대표 훈음은 오랜 세월 전승되어 온, 말 그대로 그 글자를 대표하는 훈음으로 정착된 것이므로 대표 훈음을 먼저 외고 답안 작성에 대표 훈음을 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⑦ 부분 점수는 적용하나요?
독음을 쓰는 문제에서 두 글자 중 한 글자만 적었어도, 반점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자능력검정시험은 1문항당 1점이 부여되고, 부분 점수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⑧ 연필로 써도 되나요?
필기구는 '검은색 필기구(유성펜, 연필 제외)'만을 허용하며, 답안 수정은 수정액과 수정테이프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은색 필기구'란 것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모나미 볼펜류'나 '일반 수성(플러스)펜'을 말하고, 절대 사용할 수 없는 유성펜은 매직이나 네임펜과 같이 답안지 뒷면에 잉크가 밸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간혹 컴퓨터용 사인펜을 사용하시는 분이 있는데, 이는 펜촉이 굵어 한자를 쓰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반 검은색 볼펜 사용을 권합니다.

유치원생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경우 연필과 사용 촉감이 비슷한 펜을 준비하시고, 수정액 · 수정테이프 사용법을 미리 익히시길 권해 드립니다.

 

 

8급에 배정된 한자는 50개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배정 한자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자를 익히기 전에, 제 블로그의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에 올려놓은 글들을 한번 훑어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한자를 왜 공부해야 하는지, 한자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는지, 한자의 필순은 어떠한지, 그리고 한자의 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이해하면, 한자를 배우고 익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2020/02/20 -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 한자를 알면, 공부가 즐거워요~

2020/02/21 -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 한자의 형성 원리 - 육서

2020/02/22 -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 한자 필순의 원칙

2020/02/23 -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 부수의 위치별 명칭

2020/02/24 - [한자 공부방/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① - 사람 모습(人, 儿, 入, 尢, 大, 立, 卩, 匕, 文, 勹, 色, 艮, 比, 鬥, 尸)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