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가 없던 옛날에는 의사 전달을 위해 주변의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뜬 그림으로 그려 보여 주었습니다. 그렇게 그림으로 그리기 시작한 한자는 하나둘 늘어났고, 그림으로 나타낼 수 없는 생각이나 개념들은 서로 알아볼 수 있는 점이나 선을 이용해 기호를 만들어 표현하였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그림이나 기호들은 일정한 체계를 갖춘 한자로 발전하였습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사회ㆍ문화의 발달로 표현 욕구가 늘자 기존의 한자만으로는 자기 생각을 다 표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한자를 조합해 새로운 뜻의 한자를 만들어 쓰게 되면서, 한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렇게 한자가 만들어지고 활용되는 원리를 여섯 가지로 분류하여 '육서(六書)'라고 합니다. '육서'에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가 있습니다. 한자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고 활용되는지 이해하면, 한자를 훨씬 쉽게 익힐 수 있어요.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형(象形)
: 물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해를 본떠서 '日(날 일)' 자를 만듦.
2. 지사(指事)
: 사물의 추상적인 개념을 본떠 글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글자의 모양이 어떤 사물의 위치나 수량 따위를 가리킴.
예) '上(위 상)'은 위, '下(아래 하)'는 아래, '一(한 일)'은 하나, '二(두 이)'는 둘을 가리킴.
3. 회의(會意)
: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고 그 뜻도 합성하여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日(날 일)'과 '月(달 월)'을 합하여 '明(밝을 명)' 자를 만들어 '밝다'는 뜻을 나타냄.
4. 형성(形聲)
: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 글자를 만드는 방법으로,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냄.
예) '銅(구리 동)' 자에서 '金(쇠 금)'은 금속의 뜻을 나타내고 '同(한가지/함께 동)'은 음을 나타냄.
5. 전주(轉注)
: 이미 있는 한자의 뜻을 확대ㆍ발전시켜 다른 뜻으로 쓰는 방법으로, 음이 바뀌기도 함.
예) '樂(풍류 악)'이 '즐길 락', '좋아할 요' 자로 쓰임.
6. 가차(假借)
: 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
예) Italia(이탈리아) → 伊太利(이태리)
반응형
'한자 공부방 > 한자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① - 사람 모습(人, 儿, 入, 尢, 大, 立, 卩, 匕, 文, 勹, 色, 艮, 比, 鬥, 尸) (0) | 2020.02.24 |
---|---|
부수의 위치별 명칭 (0) | 2020.02.23 |
한자 필순의 원칙 (0) | 2020.02.22 |
한자를 알면, 공부가 즐거워요~ (0) | 202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