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못: 못 들어와 vs 못들어와, 못 생겨 vs 못생겨

 

오늘은 부사 '못'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tvN, <삼시세끼 어촌 편 5> 제2회

 

출처 - 동아닷컴 2019년 10월 12일 자

 

첫 번째 자료에는 '못 들어와', 두 번째 자료에는 '못들어와'로 적혀 있네요.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못'은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르면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므로, 첫 번째 자료의 '못 들어와'와 같이 부사 '못'은 뒤의 말과 띄어 써야 바릅니다.

 

출처 - tvN, <국경 없는 포차> 제12회

 

출처 - 뉴스1 2016년 10월 14일 자

 

그리고 세 번째 자료에는 '못 생겨', 네 번째 자료에는 '못생겨'로 적혀 있습니다. 위에서 부사 '못'은 뒤의 말과 띄어 써야 한다고 했으니까, 세 번째 자료의 '못 생겨'처럼 써야 바를 것 같은데, 과연 그럴까요?

'못생기다'는 '생김새가 보통에 미치지 못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못생기다'와 같이 '못'이 다른 말과 결합하여 완전히 한 단어로 굳어져 사전에 올라 있는 것으로는 '못나다', '못살다', '못쓰다' 등이 있습니다.

'못나다'는 '얼굴이 못생기거나 예쁘게 생기지 아니하다 / 능력이 남보다 모자라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얼굴이 못났다.", "내가 못난 탓이다."와 같이 씁니다. 

'못살다'는 '가난하게 살다 / (주로 '못살게' 꼴로 흔히 '굴다'와 함께 쓰여) 성가셔서 견디기 어려워하다'를 뜻하는 동사로서, "못사는 형편에 낭비해서는 안 된다.", "못살게 굴지 마라."와 같이 씁니다.

'못쓰다'는 '('못쓰게' 꼴로 쓰여) 얼굴이나 몸이 축나다 / (주로 '-으면', '-어서'와 함께 쓰여) 옳지 않다 또는 바람직한 상태가 아니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얼굴이 못쓰게 상하다.", "거짓말을 하면 못써."와 같이 씁니다.

참고로, '못생기다'와 대비되는 '잘생기다'도 '사람의 얼굴이나 풍채가 훤하여 보기에 썩 좋게 생기다 / 물건의 모양이 미끈하여 보기에 좋게 생기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로서 붙여 씁니다.

2020/09/02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잘 생긴 얼굴 vs 잘생긴 얼굴

 '못'과 어떠한 단어가 어울려 쓰인 경우, 띄어 써야 하는지 붙여 써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그 구성이 한 단어로 사전에 올라 있는지를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단어 정리
못 [몯ː]

「부사」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잠을 통 못 자다.


못-생기다 [몯ː쌩기다]

「동사」

생김새가 보통에 미치지 못하다.
⇒ 못생긴 얼굴.

→ 활용: 못생기어(못생겨)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친구의 사과를 ( 못 이기는 / 못이기는 ) 척 받아 주었다.

2. 아무리 ( 못 생긴 / 못생긴 ) 사람이라도 그 사람만의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3. ( 못 먹는 / 못먹는 ) 감 찔러나 본다.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못 이기는    2. 못생긴    3. 못 먹는 

 

[풀이]

1., 3.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못'은 일반적으로 서술어 앞에서 서술어를 꾸며 주며 띄어 씁니다.

1. '못 이기다'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며, '이기다'라는 동사를 부정 부사 '못'이 꾸미는 구성이므로, '못 이기다'로 띄어 씁니다.

2. '못생기다'는 '생김새가 보통에 미치지 못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3. 속담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는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