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가늘다'의 뜻으로 '가느다랗다'나 '가느랗다'를 쓴 경우를 가끔 보게 됩니다. 어떤 말이 맞을지, 우선 다음 자료들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가느다란', 두 번째 자료에는 '가느란'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세 번째 자료에는 '가느다랗게', 네 번째 자료에는 '가느랗게'로 표기가 다릅니다. 어떤 표기가 맞을까요?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주 가늘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가느다랗다'입니다. '가느랗다'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따라서 '가느다란'과 '가느다랗게'로 써야 바릅니다.
'가느다랗다'는 '가늘다'의 어간 '가늘'에 '그 정도가 꽤 뚜렷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다랗다'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그런데 '가늘다랗다'가 아닌 '가느다랗다'가 왜 바른 표기일까요? 「한글 맞춤법」 제28항에 따라, 'ㄹ' 받침을 가진 말이 합성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게 바뀐 경우에는 바뀐 대로 적기 때문에 '가느다랗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생각보다 꽤 멀다'의 뜻을 가진 '머다랗다'도 같은 예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28항
: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 따님(딸-님) / 마되(말-되) / 마소(말-소) /
무자위(물-자위) / 바느질(바늘-질) / 부삽(불-삽) / 부손(불-손) /
싸전(쌀-전) / 여닫이(열-닫이) / 우짖다(울-짖다) / 화살(활-살)
단어 정리
가느-다랗다 [가느다라타]
아주 가늘다.
→ 준말: 가느닿다
→ 활용: 가느다래, 가느다라니, 가느다랗소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표기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목소리가 ( 가느다랗다 / 가느랗다 ).
2. 도끼날보다 더 ( 가느다래졌다 / 가느라래졌다 ).
3. 팔다리가 ( 가느다라니 / 가느라니 ) 길쭉했다.
4. ( 가느다랗게 / 가느닿게 ) 들리는 숨소리.
정답 및 풀이
[정답]
1. 가느다랗다 2. 가느다래졌다 3. 가느다라니 4. 가느다랗게, 가느닿게
[풀이]
1. '가느랗다'는 '가느다랗다'를 잘못 쓴 것입니다.
2~3. '가느다랗다'는 '가느다래', '가느다라니'로 활용됩니다.
4. '가느닿다'는 '가느다랗다'의 준말이므로 둘 다 맞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어휘 다듬기 > 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능한 vs 가능한 한 (0) | 2019.12.24 |
---|---|
가늠하다 vs 가름하다 vs 갈음하다 (0) | 2019.12.23 |
가냘프다 vs 갸날프다 vs 갸냘프다 (0) | 2019.12.17 |
가까이 vs 가까히 (0) | 2019.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