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준비한 자료부터 보겠습니다.
뉴스 제목에는 '지도하', 영상 자막에는 '지도 하'로 적혀 있습니다.
위 자료에 쓰인 '-하(下)'는 '그것과 관련된 조건이나 환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따라서 자료 하단의 영상 자막에 적힌 '지도하'와 같이 '-하'를 앞말에 붙여 써야 바릅니다. 왜냐하면 접사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항상 다른 어근(語根)이나 단어에 붙어 그 의미를 제한하거나 더해주거든요.
접미사 '-하'는 또 '교각하 추락 주의'의 '교각하'처럼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의 뜻도 더합니다.
그런데 본디《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을 뜻하는 '하(下)'의 품사를 '명사'로 보고 앞말과 띄어 쓰도록 했습니다.
그러던 것이 2017년 1분기《표준국어대사전》심의회에서 명사 '하(下)'에 포함되었던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이라는 뜻을 삭제하고, 접사 '-하(下)'에 추가하였습니다. 이 뜻은 2019년에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수정되었습니다.
접사 '-하'와 반대의 뜻을 가진 접사 '-상(上)'에도 명사 '상(上)'에 있던 '물체의 위나 위쪽을 이르는 말'이라는 뜻이 2017년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역시 2019년에 ''물체의 위나 위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수정되었습니다.
2020/11/11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상(上): 지구 상 vs 지구상
참고로, '어떤 기준보다 낮은 위치 / 신분, 연령, 지위, 정도 따위에서 어떠한 것보다 낮은 쪽 / 조건, 영향 따위가 미치는 범위' 등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 '아래'는 자립성이 있는 한 단어이므로, '불빛 아래' '두 살 아래' '치밀한 계획 아래'처럼 앞말과 띄어 씁니다.
2020/11/09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아래: 하늘 아래 vs 하늘아래, 발 아래 vs 발아래
단어 정리
-하(下)
「접사」
((일부 명사 뒤에 붙어))
1. '그것과 관련된 조건이나 환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원칙하.
2.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교각하 추락 주의.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띄어쓰기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 선반하 / 선반 하 ) 적치 금지.
2. 이 작품은 ( 식민지 하 / 식민지하 ) 민족 현실을 바탕으로 한 저항 정신과 향토적 세계를 노래했다.
정답 및 풀이
[정답]
1. 선반하 2. 식민지하
[풀이]
1. '아래 또는 아래쪽이나 밑'의 뜻을 더하는 '-하(下)'는 접미사이므로, '선반하'로 붙여 씁니다.
2. '그것과 관련된 조건이나 환경'의 뜻을 더하는 '-하(下)'는 접미사이므로, '식민지하'로 붙여 씁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문장 다듬기 > 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 하다 vs 함께하다 (0) | 2020.12.02 |
---|---|
중(中): 극 중 vs 극중, 한밤 중 vs 한밤중 (0) | 2020.11.18 |
상(上): 지구 상 vs 지구상 (0) | 2020.11.11 |
아래: 하늘 아래 vs 하늘아래, 발 아래 vs 발아래 (0)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