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그래: 신통하군 그래 vs 신통하군그래

 

오늘은 '그래'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그것참, 신통하군 그래.

B. 그것참, 신통하군그래.

 

'그래'는 '-구먼, -군'과 같은 해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해할 자리'란 '해체(해體)'가 쓰일 자리라는 뜻입니다. '해체'란 격식체인 '해라체'와 '하게체'를 쓸 자리에 두루 쓰는 비격식체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면, "철수야, 이리 와서 먹어." 따위가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써요. <해설>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보통 조사는 단어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말에 의존해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다. 조사를 그 앞말에 붙여 쓴다는 말은 조사가 자립성이 있는 말 뒤에 붙을 때뿐만 아니라 조사가 둘 이상 연속되거나 어미 뒤에 붙을 때에도 그 앞말에 붙여 씀을 뜻한다.

조사의 연속
학교에서처럼 / 나에게만이라도
여기서부터입니다 / 아이까지도

어미 뒤 조사
말하면서까지도 / 사과하기는커녕
먹을게요 / 놀라기보다는
맑군그래 / 오는군요

 

따라서 '그래'를 앞말에 붙여 쓴 B가 바르게 쓴 문장입니다.

'그래' 대신 '그려'를 사용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려'는 '그래'처럼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같이 가세그려.", "앞으로는 자주 만납시다그려."처럼 쓰죠.

끝으로, 이전에는《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그래'를 '-구먼, -군, -지'와 같은 해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결합하는 보조사로 풀이하였으나, 현재는 '-구먼'과 '-군' 뒤에만 결합하는 것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이에 관한 국립국어원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6년 제7차 어문 규범 검토 위원회에서, '-지그래/-지 그래'의 띄어쓰기에 대하여, '-지그래'로 붙여 쓸 경우에 '-지' 뒤에 오는 '그랬어', '그랬니', '그러다' 등과는 달리 '그래'만 붙여 쓰여 쓰는 것을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지 그래'로 띄어 쓰도록 하였고, 사전에는 2017년 1차 <표준 정보 보완 심의회>를 거쳐 '그래'의 문법 정보에 반영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미 '-지' 뒤에 '그래'가 올 때는 '-지 그래'로 띄어 써야 바릅니다. "집도 가깝고 한데 더 놀다 가지 그래.", "다 잊어버리고 여행길에나 오르지 그래."처럼 말이죠.
 

 

◎「한글 맞춤법」제41항 
: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꽃마저 / 꽃밖에 / 꽃에서부터
으로만 / 꽃이나마 / 꽃이다 / 꽃입니다
처럼 / 어디까지나 / 거기 / 멀리 / 웃고 

 


 

단어 정리
그래

「조사」

(('-구먼, -군'과 같은 해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 자네 오늘은 기분이 좋아 보이는구먼그래.


그려

「조사」

((하게할 자리나 하오할 자리 또는 하십시오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 자네가 이야기를 좀 하게나그려.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돈을 아주 물 쓰듯 ( 하는군 그래 / 하는군그래 ).

2. 그것 보기보다 참 ( 맛있구먼 그래 / 맛있구먼그래 ). 

3. 집도 가깝고 한데 더 ( 놀지 그래 / 놀지그래. )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하는군그래    2. 맛있구먼그래    3. 놀지 그래

 

[풀이]

1~2. '그래'는 '-구먼, -군'과 같은 해할 자리의 일부 종결 어미 뒤에 붙어 청자에게 문장의 내용을 강조함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므로, 어미 뒤에 붙여 '하는군그래'와 '맛있구먼그래'로 적어야 바릅니다.

3. 현재의《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3번에 쓰인 '그래'는 보조사가 아니므로 '놀지 그래'처럼 띄어 쓰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