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다듬기/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애때다 vs 애띠다 vs 앳되다

 

오늘은 '애때다', '애띠다', '앳되다'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충청투데이 2014년 2월 23일 자

 

출처 - 뉴시스 2004년 1월 30일 자

 

출처 - MBC, <나 혼자 산다> 제448회

 

첫 번째 자료에는 '애때', 두 번째 자료에는 '애뗘' 그리고 세 번째 자료에는 '앳돼'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른 표현일까요?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앳되다'입니다. 그래서 "솜털이 보송보송한 앳된 얼굴.", "뜻밖에 사내는 마치 어린 여자아이의 것처럼 앳되고 가냘픈 목소리였다.송기원, 월문리에서≫"처럼 씁니다.

이때 '애티'는 '어린 태도나 모양'을 뜻해요.

형용사 '앳되다'는 '앳되어, 앳되니' 등으로 활용합니다.「한글 맞춤법」제35항 [붙임 2]는 어간 모음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ᅟᅫᆻ'으로 될 적에 준 대로 적는다고 규정합니다. '앳되다'도 여기에 해당해서, '-어/-었-'이 결합한 '앳되어/앳되었다'를 '앳돼/앳됐다'와 같이 줄여서 쓸 수 있어요.

흔히 접하는 '애때다'나 '애띠다'는 '앳되다'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애때다'와 '애띠다'가 비표준어이므로 이를 활용한 '애때어(애때)'와 '애띠어(애뗘)'도 잘못된 표현입니다.

따라서 세 번째 자료처럼 '앳돼'라고 써야 바릅니다. 

 

◎「한글 맞춤법」제35항 [붙임 2]
: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ᅟᅫᆻ'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본말(준말)
괴어(괘), 괴었다(괬다)
되어(돼), 되었다(됐다)
뵈어(봬), 뵈었다(뵀다)
쇠어(쇄), 쇠었다(쇘다)
쐬어(쐐), 쐬었다(쐤다)


<해설>

어간 모음 'ㅚ' 뒤에 '­-어'가 결합하여 'ㅙ'로 줄어드는 경우, 'ㅙ'로 적는다. 예를 들어 '되다'와 '뵈다'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

되다
모든 게 생각대로 돼(←되어) 간다.
이렇게 만나게 돼서(←되어서) 반갑다.
어느덧 가을이 됐다(←되었다).

뵈다
오랜만에 선생님을 봬서(←뵈어서) 기뻤다.
그럼 내일 함께 선생님을 봬요(←뵈어요).
어제 부모님을 뵀다(←뵈었다).

이 밖에 '꾀다, 외다, 죄다, 쬐다'와 '되뇌다, 사뢰다, 선뵈다, 아뢰다, 앳되다, 참되다' 등도 여기에 해당해서, '-어/-었-'이 결합하면 '꽤/꽸다, 쫴/쬈다, 되놰/되뇄다, 사뢔/사뢨다' 등과 같이 줄여서 쓸 수 있다.

 


 

단어 정리
앳-되다 [앧뙤다/앧뛔다]

→ 활용: 앳되어(앳돼), 앳되니

「형용사」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이다.
⇒ 새색시의 예쁘장하고 앳된 얼굴.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소녀의  ( 애땐 / 애띤 / 앳된 ) 목소리.

2. 그는 나이에 비해 ( 애때 / 애때어 / 애뗘 / 애띠어 / 앳돼 / 앳되어 ) 보인다. 

 

정답 및 풀이

 

더보기

[정답] 

1. 앳된    2. 앳돼, 앳되어 

 

[풀이]

1~2.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이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앳되다'입니다.

2.「한글 맞춤법」제35항 [붙임 2]는 어간 모음 'ㅚ' 뒤에 '­-어'가 결합하여 'ㅙ'로 줄어드는 경우, 'ㅙ'로 적는다고 규정합니다. 즉, 'ㅚ' 뒤에 '-어'가 오면 'ㅚ어'를 'ㅙ'로 줄여 쓸 수 있으므로 '앳되어'를 줄여 '앳돼'라고 씁니다. 따라서 본말 '앳되어와 준말 '앳돼' 모두 바른 표현입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반응형

'어휘 다듬기 > 헷갈리는 말, 가려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수받다 vs 접수하다  (2) 2022.06.29
지천에 vs 지천으로  (0) 2022.06.15
치루다 vs 치르다  (0) 2022.06.01
한자 '六' 자의 한글 표기  (0) 2022.05.2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