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A와 B, C와 D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신청서는 도착 순으로 접수되었다.
B. 신청서는 도착순으로 접수되었다.
C. 초대석의 경우 빨리 도착한 순으로 자리를 배정합니다.
D. 초대석의 경우 빨리 도착한순으로 자리를 배정합니다.
A와 B에 쓰인 '-순(順)'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접미사는 항상 앞말에 붙여서 쓰는 것이 올바른 쓰임입니다. 그러므로 A와 B 중에서는 B의 '도착순으로'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C와 D에 쓰인 '순(順)'은 주로 '~순으로'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행하거나 여러 대상을 나열할 때 매겨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입니다.「한글 맞춤법」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라고 규정하며,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된다. 따라서 앞말과 띄어 쓴다.
먹을 음식이 없다. / 먹을 것이 없다.
좋은 사람이 많다. / 좋은 이가 많다.
따라서 C와 D 가운데서는 C의 '도착한 순으로'와 같이 적어야 바릅니다.
즉, '나이순'이나 '이름순'처럼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을 더하는 '-순(順)'은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쓰지만, "영어 단어를 시험에 자주 나오는 순으로 정리했습니다."와 같이 용언(동사ㆍ형용사)의 관형사형 뒤에서 주로 '~순으로'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행하거나 여러 대상을 나열할 때 매겨지는 순서'라는 뜻을 나타내는 '순(順)'은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한글 맞춤법」제42항
: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먹을 만큼 먹어라.
아는 이를 만났다.
네가 뜻한 바를 알겠다.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단어 정리
-순(順)
「접사」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차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선착순.
순(順) [순ː]
「의존 명사」
((주로 '~순으로'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행하거나 여러 대상을 나열할 때 매겨지는 순서.
⇒ 자, 키 큰 순으로 서세요.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행복은 ( 성적 순 / 성적순 )이 아니잖아요.
2. 이제 ( 호명하는 순 / 호명하는순 )으로 입장해 주십시오.
정답 및 풀이
[정답]
1. 성적순 2. 호명하는 순
[풀이]
1. '-순(順)'은 '차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성적순'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더욱이 '성적순'은 '성적의 좋고 나쁨으로 매기는 순서'를 뜻하는 한 단어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2. '순(順)'은 '무슨 일을 행하거나 여러 대상을 나열할 때 매겨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의 말과 띄어서 '호명하는 순'이라고 씁니다.
※ 포스팅 작성 시 맞춤법과 띄어쓰기 등 한국어 어문 규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시한 「한글 맞춤법」(제2017-12호) ·「표준어 규정」(제2017-13호)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제2014-42호)을, 단어의 뜻풀이 등은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문장 다듬기 > 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하디 귀한 vs 귀하디귀한 (0) | 2023.05.24 |
---|---|
측: 주최 측 vs 주최측, 양 측 vs 양측 (0) | 2022.08.24 |
마다: 사람 마다 vs 사람마다 (0) | 2022.08.17 |
그래: 신통하군 그래 vs 신통하군그래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