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한 곳 vs 한곳, 한 군데 vs 한군데, 한 데 vs 한데 오늘은 '한 곳'과 '한곳'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한국은 공략하기 까다로운 시장 중 한 곳으로 꼽힌다. B. 한국은 공략하기 까다로운 시장 중 한곳으로 꼽힌다. 「한글맞춤법」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합니다. 따라서 A의 '한 곳으로'와 같이 띄어 적어야 바릅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한 곳으로', 두 번째 자료에는 '한곳으로'로 적혀 있습니다. 같은 책 제목인데 띄어쓰기가 다릅니다. 어떤 것이 바르게 쓴 것일까요? 위에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라고 했으니까, 첫 번째 자료의 '한 곳으로'처럼 써야 바를 것 같은데, 과연 그럴까요? '한곳'은 '일정한 곳' 또는 '같은 곳'의 의미인 .. 더보기
부터: 2001년 부터 vs 2001년부터 우선, 준비한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2001년 부터', 두 번째 자료에는 '2001년부터'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르게 썼는지 알아볼까요. '부터'는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흔히 뒤에는 끝을 나타내는 '까지'가 와서 짝을 이룹니다. 그렇다면, 조사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할까요? 우선,「한글맞춤법」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하며, 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국어에서 단어를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단어가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기 때문이다. '동생 밥 먹는다'에서 '동생', '밥', '먹는다'는 각각이 단어이므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되어 '동생 밥 먹는다'로 띄어 쓴다. 그런.. 더보기
다음 번 vs 다음번 오늘 살펴볼 말은 '다음 번'과 '다음번'입니다. 우선,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을 봐 주세요. A. 다음 번에는 소고기를 먹자고 하는 제안이 나왔다. B. 다음번에는 소고기를 먹자고 하는 제안이 나왔다. A에는 '다음 번'으로, B에는 '다음번'으로 적혀 있습니다. 어느 것이 바르게 쓴 걸까요? 앞에 글에서 '내일'이나 '어느 특정한 날에서 하루가 지난 날'을 뜻한다면 '다음 날'로 띄어 쓰고, '정하여지지 아니한 어떤 날'을 뜻한다면 '다음날'로 붙여 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2021.04.19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다음 날 vs 다음날 이처럼 '다음 날'과 '다음날'은 띄거나 붙일 때 그 의미가 달라지므로 문맥에 맞게 골라 써야 하는 것과 달리, '다음번'은 '다음에 오.. 더보기
다음 날 vs 다음날 오늘 살펴볼 말은 '다음 날'과 '다음날'입니다. 우선, 아래 자료부터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다음 날', 두 번째 자료에는 '다음날'로 적혀 있습니다. '다음'은 '어떤 차례의 바로 뒤'라는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뒤에 이어지는 명사 '날'을 꾸밉니다. 「한글맞춤법」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다음 날'과 같이 띄어 적어야 바릅니다. 이때의 '다음 날'은 오늘의 다음인 '내일'이나 '어느 특정한 날에서 하루가 지난 날'을 가리킵니다. 그럼,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우리는 다음 날을 기약했습니다. B. 우리는 다음날을 기약했습니다. 위 문장처럼 막연한 미래를 가리킬 때는 명사 '다음'과 .. 더보기
알다 마다 vs 알다마다 다음 A와 B의 밑줄 친 부분을 봐 주세요. 어느 것이 바르게 쓴 걸까요? A. 암, 잘 알다 마다. B. 암, 잘 알다마다. 두 문장에 쓰인 '-다마다'는 '이다'의 어간, 용언(동사ㆍ형용사)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어 상대편의 물음에 대하여 긍정의 뜻을 강조하여 나타낼 때 쓰는 종결 어미입니다. 그렇다면, 어미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할까요? 「한글맞춤법」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하며, 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단어는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다. 예를 들어 '먹는다'에서 동사의 어간 '먹-'이나 어미 '­-는다'는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므로 단어가 아니다. 그래서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과 여기에 결합하는 어미는 단어가 .. 더보기
하나 마나 vs 하나마나 먼저, 아래 두 문장을 봐 주세요. A와 B의 밑줄 친 부분 중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A. 하나 마나 한 미사여구만 늘어놓는다고 해서 좋은 글이 되는 건 아니다. B. 하나마나 한 미사여구만 늘어놓는다고 해서 좋은 글이 되는 건 아니다. 위 두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은 동사 '하다'의 어간 '하-' 뒤에, '-(으)나 마나' 구성으로 쓰여 '아니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말다'가 이어진 구 구성입니다. 동사 '하다'와 '말다'의 어간에 각각 연결 어미 '-나'가 붙은 형태인 거죠. 즉, 동사 '하다'의 활용형인 '하나' 뒤에 이어지는, 동사 '말다'의 활용형인 '마나'는 본동사로 쓰인 것이므로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따라서 A의 '하나 마나'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결국, '-(으)나마나.. 더보기
해야 겠다 vs 해야겠다 오늘도 준비한 자료 먼저 봐 주세요. 첫 번째 자료에는 '해야 겠다', 두 번째 자료에는 '해야겠다'로 적혀 있습니다. 어떤 것이 바른지 살펴볼까요? 위 두 자료에 쓰인 '-겠-'은 주체의 의지를 나타내는 어미입니다. 가령, "나는 시인이 되겠다.", "이번 달까지 목표치를 달성하겠다."처럼 씁니다. 「한글맞춤법」제2항은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규정합니다. 단어를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단어가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겠-'과 같은 어미는 단어일까요? 아닐까요? 그 답은 제2항 에 나옵니다. 단어는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최소 단위이다. 예를 들어 '먹는다'에서 동사의 어간 '먹-'이나 어미 '­-는다'는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므로 단어가 아.. 더보기
좋을 뿐더러 vs 좋을뿐더러 아래 두 자료를 먼저 봐 주세요. 앞의 글에서 조사와 의존 명사로 쓰이는 '뿐'은 조사로 쓰일 때는 앞말에 붙여 쓰고,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앞말과 띄어 적는다고 했었죠. 2021/02/22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이름 뿐 vs 이름뿐, 모를 뿐 vs 모를뿐 위 두 자료의 '좋을 뿐더러'와 '좋을뿐더러' 가운데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어미 '-을'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인 의존 명사 '뿐'의 쓰임이라고 생각하여, 첫 번째 자료처럼 '좋을 뿐더러'로 띄어쓰기한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어떤 일이 그것만으로 그치지 아니하고 나아가 다른 일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을뿐더러'의 쓰임입니다. '-을뿐더..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