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 다듬기

터: 좋을 텐데 vs 좋을텐데 오늘은 의존 명사 '텐데'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좋을 텐데', 두 번째 자료에는 '좋을텐데'로 나와 있습니다. 어떤 표기가 바를까요? 우선,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인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에 관해서 짚고 갈게요. 「한글 맞춤법」 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고 규정합니다. 왜냐하면,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위 두 자료의 '텐데'는 '터인데(터+이-+-ㄴ데)'가 줄어든 말입니다. 여기서 '터'는 어미 '-을' 뒤에 쓰여 '예정'이나 '추측', '의지'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더보기
-ㄹ수록/-을수록: 볼 수록 vs 볼수록, 들을 수록 vs 들을수록 오늘은 어미 '-ㄹ수록'과 '-을수록'의 띄어쓰기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볼 수록', 두 번째 자료에는 '볼수록'으로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자료에는 '들을 수록', 네 번째 자료에는 '들을수록'으로 적혀 있습니다. 띄어쓰기가 서로 다른데,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ㄹ수록'과 '-을수록' 모두 '앞 절 일의 어떤 정도가 그렇게 더하여 가는 것이, 뒤 절 일의 어떤 정도가 더하거나 덜하게 되는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입니다. 그러므로 앞의 어간과 붙여 써야 합니다. 다만, '-ㄹ수록'은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이나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어미 '-으시-' 뒤에 붙습니다. 그리고 '-을수록'은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 더보기
없이: 쉼 없이 vs 쉼없이, 쓸데 없이 vs 쓸데없이 오늘 살펴볼 단어는 부사 '없이'입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쉼 없이'로, 두 번째 자료에는 '쉼없이'로 적혀 있습니다. 띄어쓰기가 서로 다른데요.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어떤 일이나 현상이나 증상 따위가 생겨 나타나지 않게 / 어떤 것이 많지 않은 상태로 / 재물이 넉넉하지 못하여 가난하게 / 어떤 일이 가능하지 않게 / 사람이나 사물 또는 어떤 사실이나 현상 따위가 어떤 곳에 자리나 공간을 차지하고 존재하지 않게 / 어떤 물체를 소유하고 있지 않거나 자격이나 능력 따위를 갖추고 있지 않게 / 일정한 관계를 가진 사람이 존재하지 않게 / 어떤 사람에게 아무 일도 생기지 않게 / 이유, 근거, 구실, 가능성 따위가 성립되지 않게 / 상하, 좌우, 위계 따위가 구별되지 않게'의 뜻을 나타내는 '없이'는 .. 더보기
거: 내 거야 vs 내거야 vs 내꺼야 , 사랑할 거야 vs 사랑할거야 vs 사랑할꺼야 오늘은 의존 명사 '거'의 띄어쓰기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내 거야', 두 번째 자료에는 '내거야', 세 번째 자료에는 '내꺼야'라고 적혀 있습니다.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우선,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이는 명사인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에 관해서 짚고 갈게요. 「한글 맞춤법」 제42항은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고 규정합니다. 왜냐하면, 의존 명사는 그 앞에 반드시 꾸며 주는 말이 있어야 쓸 수 있는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거'는 의존 명사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거'도 '것'처럼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즉, '내'와 '의존 명사 .. 더보기
갈고 닦다 vs 갈고닦다 오늘 살펴볼 단어는 '갈고 닦다'와 '갈고닦다'입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기량을 갈고 닦아'로, 두 번째 자료에는 '기량을 갈고닦아'로 적혀 있습니다. 어떻게 써야 바를까요? '갈고닦다'는 '학문이나 재주 따위를 힘써 배우고 익히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래서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이번 기회에 유감없이 발휘하였다."와 같이 활용합니다. '갈고닦다'는 한 단어이므로, 두 번째 자료의 '기량을 갈고닦아'처럼 붙여 써야 합니다. 단어 정리 갈고-닦다 [갈ː고닥따] 【…을】 학문이나 재주 따위를 힘써 배우고 익히다. ≒갈닦다. → 활용: 갈고닦아[갈ː고다까], 갈고닦으니[갈ː고다끄니], 갈고닦는[갈ː고당는] 마무리 퀴즈 ※ 다음 중 띄어쓰기가 바른 것을 고르세요. 1. 지식과 지혜를 ( 갈고 닦아 .. 더보기
개(個/箇/介): 3천 개 vs 3천개, 3000 개 vs 3000개 오늘은 의존 명사 '개(個/箇/介)'의 띄어쓰기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3천 개', 두 번째 자료에는 '3천개'로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 자료에는 '3000 개', 네 번째 자료에는 '3000개'로 표기되어 있는데요. 어떤 띄어쓰기가 바른지 살펴보겠습니다. '개'는 '낱으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입니다. '개'와 같이 '수효나 분량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를 가리켜 '단위 명사'라고 합니다.「한글 맞춤법」제43항은 단위를 나타내는 말은 하나의 단어로 인정되는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고 규정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3천 개'와 세 번째 자료의 '3000 개'처럼 적어야 바릅니다. 참고로, 수를 나타낼 때는 천 단위마다 자릿점을 찍어 주어야 하므로.. 더보기
같이: 다 같이 vs 다같이, 파노라마 같이 vs 파노라마같이 바로 앞의 글에서는 '불꽃같다, 주옥같다'처럼 '○○같다' 형태로 하나의 단어가 된 말이 아니라면, 형용사 '같다'와 '같다'의 활용형인 '같은 · 같으니 · 같아서' 등은 앞말과 띄어 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2020/01/21 - [문장 다듬기/헷갈리기 쉬운 띄어쓰기] - 같다: 이 같은 vs 이같은 오늘은 '같은'과 그 뜻이 비슷해서 어떻게 띄어 써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은 '같이'의 띄어쓰기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다 같이', 두 번째 자료에는 '다같이'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자료에는 '파노라마 같이', 다섯 번째 자료에는 '파노라마같이'로 적혀 있어서 띄어쓰기 서로 다른데요. 어떻게 띄어 쓰는 것이 바른지 알아볼까요. '같이'는 부사로 쓰일 때와 조.. 더보기
같다: 이 같은 vs 이같은 오늘은 형용사 '같다'의 띄어쓰기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자료에는 '어린 양 같은', 두 번째 자료에는 '어린 양같은'으로, 세 번째 자료에는 '이 같은', 네 번째 자료에는 '이같은'으로 띄어쓰기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띄어 써야 바른지 살펴볼까요. 위 네 자료에 나오는 '같은'은 형용사 '같다'의 어간 '같-' 뒤에 어미 '-은'이 붙은 활용형입니다.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를 뜻할 때는 '~과/와 같은'의 형태이지만, 주로 '과/와'가 생략된 단독형으로 쓰입니다. 예를 들면, '백옥(과) 같은 피부'처럼요. 따라서 첫 번째 자료의 '어린 양 같은'과 세 번째 자료의 '이 같은'처럼 앞말과 띄어 써야 바릅니다. 다만, '감쪽같다, 금쪽같다, 꿈같다, 납덩이같다..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