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② - 산(山, 阜, 厂, 谷)과 광물(石, 土, 金, 玉)
'산'과 '광물'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78. 山(메 산) : 산이 우뚝 솟은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산의 봉우리가 뾰족뾰족하게 이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우뚝 솟은 세 개의 봉우리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우뚝 솟은 산봉우리들로 만들어진 산맥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산'이나 '산의 이름'ㆍ'산의 기세' 그리고 '높다'와 같이 산에서 연상되는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山 + 夆 = 峰(봉우리 봉) 79. 阜[阝](언덕 부) : 산 옆쪽의 험한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흙이 겹겹이 쌓이고 덮쳐진 산의 단층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산의 측면 단층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흙이..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① - 하늘(日, 月, 夕, 气, 風, 雨)
자연 관련 부수는 '하늘, 산과 광물, 식물, 물과 불, 어패류와 벌레, 가축과 가죽, 짐승ㆍ발자국과 뿔, 새와 용'으로 세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하늘'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72. 日(날 일) : 해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은 딱딱한 재료에 새겼기 때문에 둥근 모양을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日' 자가 비록 네모난 형태로 그려져 있지만, 본래는 둥근 태양을 표현한 것입니다. → 갑골문 '日' 자를 보면 사각형 안에 점이 찍혀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을 두고 태양의 흑점을 표시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고, 태양 속에 사는 세 발 달린 전설의 까마귀를 의미한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日' 자는..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⑨ - 몸(肉, 骨, 歹, 心, 疒, 身, 己, 厶)
'몸'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64. 肉[月](고기 육) : 베어 낸 한 점의 고깃덩어리에 칼집을 낸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고기', '몸'이나 '신체의 부분'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 참고로, '肉' 자의 변형인 '月' 자의 '二'는 양쪽에 붙고, '月(달 월)' 자의 '二'는 왼쪽만 붙습니다. [예] 肉 + 昜 = 腸(창자 장) 65. 骨(뼈 골) : '肉(고기 육)' 자와 '冎(뼈 발라낼 과)' 자를 합하여, '살[몸] 속에 있는 뼈'ㆍ'살이 조금 붙어 있는 뼈'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 또는, 갑골문에서의 '骨' 자는 뼈와 관절이 서로 이어져 있는 모습이지만, 금문에서는 여기에 '肉' ..
더보기
[부수 Ⅰ] 사람 관련 부수 ⑧ - 발(止, 足, 疋, 走, 夂, 夊, 癶, 舛)
'발'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56. 止(그칠 지) : 엄지발가락이 길게 뻗어 있는, 사람의 발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사람의 발자국 모양을 본뜬 글자. '발을 멈추고 그 자리에 있다'는 뜻과 '발을 움직여 나아가다'는 뜻으로 썼으나, 나중에는 주로 '그치다'ㆍ'머무르다'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또는, 초목의 싹이 돋아날 때의 뿌리 부분의 모양을 본뜬 글자. '발'ㆍ'뿌리'라는 뜻이었으나, 그 뜻이 바뀌어 '그침'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가다'나 '이동하다'처럼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一 + 止 = 正(바를 정) 57. 足(발 족) : 사람의 허벅다리 또는 무릎뼈에서 ..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