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③ - 그릇(皿, 缶, 鬲, 鼎, 匸, 匚, 凵, 用, 斗, 襾)
'그릇'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37. 皿(그릇 명) : 아가리가 넓고 받침이 있는, 길쭉한 그릇의 모양을 본뜬 글자. 금문의 '皿' 자에는 간혹 '金(쇠 금)' 자가 더해져 그것이 질그릇이 아닌 청동기임을 강조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그릇'이나 '담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于 + 皿 = 盂(바리 우) 138. 缶(장군 부) : 장군(물, 술, 간장 따위의 액체를 담아서 옮길 때에 쓰는 그릇)의 용기와 뚜껑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그릇에 담긴 흙을 절굿공이로 찧는 모습을 본뜬 글자. 그 흙은 질그릇을 만들기 위한 배토(坏土, 질그릇의 원료가 되는 흙)일 것이고, 여기서 '질그릇[陶器(도기..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① - 의류(衣ㆍ巾)와 직물(幺ㆍ糸ㆍ麻), 보자기(冖)와 바느질(黹)
생활 관련 부수는 '의류와 직물, 보자기와 바느질, 음식과 술, 집, 곡식, 도구, 그릇, 안석과 붓과 악기, 길과 이동 수단, 울타리와 밭, 무기, 색깔, 제사와 점ㆍ기타, 숫자와 기호'로 세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의류'ㆍ'직물'ㆍ'보자기'ㆍ'바느질'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27. 衣 [衤](옷 의) : 윗옷의 모양을 본뜬 글자. 윗부분은 목둘레를 따라 만들어진 옷깃을, 아랫부분은 양쪽은 소매를, 나머지 중간 부분은 옷섶인데 안섶이 왼쪽으로, 겉섶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여며진 모습입니다. → '衣' 자는 치마[裳ㆍ치마 상]에 대칭한 '윗옷'이 원래 뜻입니다. 상의와 하의를 합친 '옷'을 '의상(衣裳)'이라고 하는 이유도..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⑥ - 짐승(虎, 豸, 鹿, 鼠, 龜, 黽)과 발자국(釆, 禸)과 뿔(角)
'짐승', '발자국', '뿔'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11. 虎[虍](범 호) : 호랑이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서 '虎' 자는 호랑이의 쩍 벌린 입과 날카로운 이빨, 튼튼한 발톱과 꼬리, 얼룩무늬가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 호랑이는 예나 지금이나 '용맹함'을 상징합니다. 그러나 고대인들에게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자 신비의 영물(靈物)이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문자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虎' 자가 쓰인 글자 대부분은 '용맹함'이나 '두려움', '힘'과 '강제'와 관련된 뜻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예] 号 + 虎 = 號(부르짖을 호) 112. 豸(발 없는 벌레 치, 해태 태/채) : 맹수가 몸을 웅크리고 ..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⑤ - 가축(犬, 豕, 羊, 牛, 馬)과 가죽(皮, 革, 韋)
'가축'과 '가죽'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03. 犬[犭](개 견) :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문자는 가리키는 바의 특정[두드러진] 부분을 강조해서 묘사하는데, 개는 짖는 입과 치켜 올라간 꼬리가 특징적입니다. 또는, 앞발을 들고 짖어대는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 갑골문과 금문에서, '犬' 자와 '豕(돼지 시)' 자의 생김새는 비교적 비슷한데, 차이는 오직 배와 꼬리에 있습니다. '豕' 자는 배가 뚱뚱하고 꼬리가 늘어뜨려져 있는 반면, '犬' 자는 배가 야위고 꼬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입니다. → 개는 인간의 가장 가까운 동물의 대표이므로 다른 부류의 동물까지도 '犬'으로 표현한 경우가 있는데, '狐(여우 ..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③ - 식물(木, 片, 爿, 竹, 艸, 氏, 生, 韭, 瓜)
'식물'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86. 木(나무 목) :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하늘을 향해 가지를 뻗으며 자라나는 나무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나무'나 '나무의 종류', '나무의 상태'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木 + 木 = 林(수풀 림) 87. 片(조각 편) : '木(나무 목)' 자의 오른쪽 절반 모양을 나타내어 '(작은) 조각'이란 뜻을 가리킨 글자. 또는, 나무의 우측으로 갈라진 나뭇가지에 나무 판을 덧댄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가공된 나무'나 '작게 조각이 난 물건'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片 + 反 = 版(널 판) 88. 爿(나뭇조각 장/상)..
더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