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부수 카드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⑤ - 도구(工, 刀, 力, 耒, 方, 斤, 士, 丨, 辛, 网) '도구'와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54. 工(장인 공) : 달구(땅을 단단히 다지는 데 쓰는 기구)의 모양을 본뜬 글자. → '工' 자는 '달구'를 그린 것이지만, 의미가 확장되어 도구를 잘 다루는 사람, 즉 '장인'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장인은 세심하고 숙련된 기술을 갖고 일을 하므로, '工' 자는 나아가 '세심하다'ㆍ'숙련되다'라는 뜻도 생겼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작업'이나 '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예] 工 + 丂 = 巧(공교할 교) 155. 刀[刂](칼 도) : 굽은 칼날 위로 뾰족한 날이 하나 더 있는 칼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칼'이나 '자르다'ㆍ'베다', '..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④ - 곡식(白, 禾, 黍, 香, 米, 麥, 齊) '곡식'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47. 白(흰 백) : 껍질을 벗긴 쌀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촛불의 심지와 밝게 빛나는 불빛의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엄지손가락 모양을 본뜬 글자. 엄지손가락은 손가락 중에서 '첫 번째' 손가락이므로, '白' 자의 원래 의미는 '첫째'나 '맏이'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손톱에는 속손톱(손톱의 뿌리 쪽에 있는 반달 모양의 하얀 부분)이 있는데, 특히 엄지손톱에는 속손톱이 더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래서 '白' 자는 '희다'ㆍ'밝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으며, 밝게 되면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게 되므로 '사실대로 밝히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희..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③ - 그릇(皿, 缶, 鬲, 鼎, 匸, 匚, 凵, 用, 斗, 襾) '그릇'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37. 皿(그릇 명) : 아가리가 넓고 받침이 있는, 길쭉한 그릇의 모양을 본뜬 글자. 금문의 '皿' 자에는 간혹 '金(쇠 금)' 자가 더해져 그것이 질그릇이 아닌 청동기임을 강조했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그릇'이나 '담다'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于 + 皿 = 盂(바리 우) 138. 缶(장군 부) : 장군(물, 술, 간장 따위의 액체를 담아서 옮길 때에 쓰는 그릇)의 용기와 뚜껑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그릇에 담긴 흙을 절굿공이로 찧는 모습을 본뜬 글자. 그 흙은 질그릇을 만들기 위한 배토(坏土, 질그릇의 원료가 되는 흙)일 것이고, 여기서 '질그릇[陶器(도기..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② - 음식(食)과 술(酉, 鬯) '음식'과 '술'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34. 食[飠](밥/먹을 식, 밥/먹일 사, 사람 이름 이) : 밥뚜껑과 고봉밥을 담아 놓은 밥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음식이 담긴 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 위는 뚜껑이고 아래는 발을 가진 그릇이며, 두 점은 피어오르는 김을 형상화했습니다. 소복하게 담긴 음식에서 이것이 '밥'이 아닌지 추측하게 합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음식', '먹는 동작이나 행위'와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食 + 巽 = 饌(반찬 찬) 135. 酉(닭 유) : 끝이 뾰족한 술독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뚜껑이 덮인 술 단지 모양을 본뜬 글자. 또는, 술을 담는 두루미(목과 아가리는.. 더보기
[부수 Ⅲ] 생활 관련 부수 ① - 의류(衣ㆍ巾)와 직물(幺ㆍ糸ㆍ麻), 보자기(冖)와 바느질(黹) 생활 관련 부수는 '의류와 직물, 보자기와 바느질, 음식과 술, 집, 곡식, 도구, 그릇, 안석과 붓과 악기, 길과 이동 수단, 울타리와 밭, 무기, 색깔, 제사와 점ㆍ기타, 숫자와 기호'로 세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의류'ㆍ'직물'ㆍ'보자기'ㆍ'바느질'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27. 衣 [衤](옷 의) : 윗옷의 모양을 본뜬 글자. 윗부분은 목둘레를 따라 만들어진 옷깃을, 아랫부분은 양쪽은 소매를, 나머지 중간 부분은 옷섶인데 안섶이 왼쪽으로, 겉섶이 오른쪽으로 가도록 여며진 모습입니다. → '衣' 자는 치마[裳ㆍ치마 상]에 대칭한 '윗옷'이 원래 뜻입니다. 상의와 하의를 합친 '옷'을 '의상(衣裳)'이라고 하는 이유도..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⑦ - 새(隹, 鳥, 乙, 非, 飛, 羽)와 용(龍) '새'와 '용'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20. 隹(새 추) : 꽁지가 짧은 새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새를 표현한 것입니다. →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隹'는 꼬리가 짧은 새의 총칭이며 '鳥(새 조)'는 꼬리가 긴 새의 총칭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꽁지가 짧은 두루미를 뜻하는 '鶴(학 학)' 자에 '鳥' 자가 들었고, 꽁지가 긴 꿩을 뜻하는 '雉(꿩 치)' 자에 '隹' 자가 든 것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습니다. →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새'나 '새의 특성'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게 됩니다. [예] 小 + 隹 = 雀(참새 작) 121. 鳥(새 조) : 긴 꽁..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⑥ - 짐승(虎, 豸, 鹿, 鼠, 龜, 黽)과 발자국(釆, 禸)과 뿔(角) '짐승', '발자국', '뿔'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11. 虎[虍](범 호) : 호랑이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갑골문에서 '虎' 자는 호랑이의 쩍 벌린 입과 날카로운 이빨, 튼튼한 발톱과 꼬리, 얼룩무늬가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 호랑이는 예나 지금이나 '용맹함'을 상징합니다. 그러나 고대인들에게 호랑이는 두려움의 대상이자 신비의 영물(靈物)이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문자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虎' 자가 쓰인 글자 대부분은 '용맹함'이나 '두려움', '힘'과 '강제'와 관련된 뜻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예] 号 + 虎 = 號(부르짖을 호) 112. 豸(발 없는 벌레 치, 해태 태/채) : 맹수가 몸을 웅크리고 .. 더보기
[부수 Ⅱ] 자연 관련 부수 ⑤ - 가축(犬, 豕, 羊, 牛, 馬)과 가죽(皮, 革, 韋) '가축'과 '가죽'과 관련된 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부수 카드도 그림 파일로 첨부하니,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03. 犬[犭](개 견) :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문자는 가리키는 바의 특정[두드러진] 부분을 강조해서 묘사하는데, 개는 짖는 입과 치켜 올라간 꼬리가 특징적입니다. 또는, 앞발을 들고 짖어대는 개의 옆 모양을 본뜬 글자. → 갑골문과 금문에서, '犬' 자와 '豕(돼지 시)' 자의 생김새는 비교적 비슷한데, 차이는 오직 배와 꼬리에 있습니다. '豕' 자는 배가 뚱뚱하고 꼬리가 늘어뜨려져 있는 반면, '犬' 자는 배가 야위고 꼬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입니다. → 개는 인간의 가장 가까운 동물의 대표이므로 다른 부류의 동물까지도 '犬'으로 표현한 경우가 있는데, '狐(여우 .. 더보기

TOP